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13층 회의실에서 열린 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을 위한 전문가 포럼에서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손상민 사진기자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13층 회의실에서 열린 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을 위한 전문가 포럼에서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손상민 사진기자

성평등가족부가 지난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성평등한 노동시장 구축을 위한 고용평등임금공시제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제도 도입의 취지와 필요성,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31일 성평등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2023년부터 공공부문에서 시행 중인 성별근로공시제의 현황을 점검하고, 민간부문까지 확대 가능한 고용평등임금공시제의 제도 설계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는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을 비롯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공시제가 임금정보의 투명성을 높여 성별임금격차를 완화할 핵심 제도라는 것을 강조하며, 현실적이고 신뢰성 있는 공시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뜻을 모았다.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13층 회의실에서 열린 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을 위한 전문가 포럼. ⓒ손상민 사진기자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13층 회의실에서 열린 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을 위한 전문가 포럼. ⓒ손상민 사진기자

공시제의 사회적 효과와 실효성 확보 방안, 해외 공시제 운영 사례도 함께 점검했다. 참석자들은 해외의 운영방식과 성과를 참고해, 우리 제도가 단계적이고 현장 친화적인 구조로 정착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한 기업이 스스로 성평등 경영 수준을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책임 기반의 공시체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성평등부는 이번 논의를 시작으로 오는 11월까지 총 다섯 차례의 전문가 포럼을 통해, 노동계·경영계·관계부처 등 각계 전문가와 현장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제도 방향과 추진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은 “고용평등임금공시제는 남녀 모두에게 일터의 신뢰와 공정성을 높이는 제도적 기반이자, 성평등한 조직문화로 나아가기 위한 실질적 장치”라며 “제도의 설계부터 운영까지 현장의 의견을 면밀히 반영해, 공시제가 정책의 신뢰와 실효성을 높이는 제도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책임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