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1건 → 2024년 103건으로 늘어
김예지 “산후조리원 관리감독 체계 강화해야”

ⓒ챗 지피티
ⓒ챗GPT 생성 이미지

최근 3년 사이 산후조리원 내 신생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 사례가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이 17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산후조리원 내 RSV 감염 사례는 2022년 71건에서 2023년 78건, 지난해 103건으로 늘어났다. 최근 3년 사이 약 1.5배나 늘어난 것이다.

RSV는 영아에게 폐렴, 모세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감염 시 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치료제가 없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산후조리원의 위생 관리와 감염병 대응 체계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신생아실 위생 점검 주기와 직원 감염병 예방 교육, 보호자 출입 관리 등 기본적인 관리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산모와 신생아가 반복적으로 감염병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후조리원은 의료기관과 달리 감염 관리 규정이 모호하고, 지자체 감독도 형식에 그칠 때가 많아 취약점이 누적되고 있다. 이에 감염병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산후조리원에도 의료기관 수준의 위생 관리 기준을 적용하고, 실효성 있는 법적 관리·감시 제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예지 의원은 “국정감사를 비롯해 여야가 매번 산후조리원 내 RSV 집단감염에 대해 지적했지만, 이에 대한 예방 관리나 체계적 대응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산후조리원은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돌보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감염병의 위험에 노출되는 모순적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체계 확립과 관리 감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