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7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47.2%로 집계됐다.

BIS 기준의 정부부채는 국제통화기금(IMF)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달리, 비영리 공공기관과 비금융 공기업 등을 제외한 협의의 국가 채무만을 포함한다.

이 기준에 따른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코로나19 유행 때인 2020년 1분기 40.3%로 처음 40%를 넘은 뒤 추세적으로 상승해왔다.

2023년 1분기 44.1%, 2024년 1분기 45.2% 등으로 꾸준히 오르다가 2024년 4분기 43.6%로 주춤했고, 올해 들어 크게 올랐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47%대에 달한 것은 BIS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후 35년 만에 처음이다.

BIS는 올해 1분기 말 정부부채 규모를 약 1212조원으로 추산했다. 원화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였다.

달러 기준으로는 약 8천222억달러로, 역대 최대였던 작년 3분기(약 8683억달러)보다는 5% 줄었다. 원/달러 환율 상승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세계 주요국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편이다. 

올해 1분기 BIS 통계에 포함된 28개 OECD 가입국 중 18위 수준으로, 일본 200.4%, 그리스 152.9%, 이탈리아( 36.8%, 미국 107.7%, 프랑스 107.3% 등 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