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30일 기자회견서 유보적 입장 재확인
“일에는 ‘경중·선후’ 있어...
갈등 요소 많은 의제, 사회적 토론 필요...국회가 나서야”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차별금지법 제정보다 민생과 경제가 더 시급하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대선 경선 후보 시절 차별금지법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더 필요하다고 했는데, 노력하실 의사가 있는가”라는 연합뉴스 기자의 질문에 이같은 취지로 답했다.

“질문을 받지 말 걸 그랬다”는 우스갯소리로 답변을 시작한 이 대통령은 “차별금지법 얘기는 참 예민하다. 이게 중요한 우리 사회 과제 중 하나이긴 한데 일단은 민생과 경제가 더 시급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무겁고 우선적인 급한 일부터 먼저 하자는 입장”이라며 “이런 갈등 요소가 많은 의제(차별금지법)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사회적 토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지금 제가 그걸 할지 또는 다른 단위가 할지는 좀 봐야겠는데 이런 건 사실 국회가 하는 게 좋다”며 “우리는 집행 기관이다. 영 안 되면 마지막에 우리가 나서야 될 지 모르겠지만 가능하면 국회가 좀 나서서 이런 논쟁적 의제들에 대한 토론을 미리 해 주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중간 단계 입법으로 생활동반자법이나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법 마련 등에 대해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는 “생활동반자법은 저번 대선 때 우리 공약이었던 것 같다”며 “하여튼 이런 인권의 문제도 관심을 가져보도록 하겠다”고만 답했다.

차별금지법제정연대 회원들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바라는 1만인의 목소리 - 이재명 정부, 차별금지법 제정으로 시작합시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신다인 기자
차별금지법제정연대 회원들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바라는 1만인의 목소리 - 이재명 정부, 차별금지법 제정으로 시작합시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신다인 기자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차별금지법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보여 왔다. 지난 5월1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첫 대선 후보 TV 토론에서 권영국 당시 민주노동당 후보에게 ‘차별금지법 제정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도 “방향은 맞지만 현안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이걸로 새롭게 논쟁 갈등이 심화되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을 하기 어렵다”고 한 바 있다.

차별금지법은 1997년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부터 논의되기 시작해 28년간 사회적 쟁점이 돼 왔다. 2007년 노무현 정부와 2013년 문재인 전 대통령 의원 시절에도 법안이 발의됐다. 2021년 시민 10만 명 이상이 차별금지법 제정 국회 청원에 참여했고 국민의 67.2%가 차별금지법 제정에 동의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국가인권위원회, 2022)도 나왔으나 보수 종교계 등의 반발로 본격적인 제정 논의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