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경매 시장에 실수요자 참여가 늘면서 낙찰가율이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3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는 총 252가구가 경매에 나와 이 가운데 114가구가 낙찰됐다.
낙찰률은 45% 수준이지만 낙찰가율은 상승했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을 나타내는 낙찰가율은 97.7%로, 2022년 6월(110.0%) 이후 2년 11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달 7일 경매가 진행된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전용 197㎡는 7명이 입찰하며 감정가(72억원)보다 20억원 이상 높은 93억7천만원(낙찰가율 130.1%)에 낙찰됐다.
강남구 삼성동 힐스테이트 2단지 41㎡는 감정가 16억원보다 4억원 이상 높은 20억6천만원(낙찰가율 128.5%)을 기록했다.
강남구 논현동 논현신동아파밀리에 전용 114㎡는 감정가(20억5천만원) 대비 5억원가량 비싼 25억3천만원(낙찰가율 123.4%)에 낙찰됐다.
지난달 7일 경매에 나온 마포구 대흥동 마포자이2차 85㎡는 55명이 참여해 낙찰가 21억6천만원으로 감정가(16억5천만원)보다 30% 높았다.
동대문구 답십리동 래미안미드카운티 85㎡도 7명이 몰려 13억5천만원(낙찰가율 115.5%)에 매각됐다.
지난달 낙찰가율 상위 10위에 오른 아파트 중 절반이 토지거래허가제 대상이 아니었다고 지지옥션은 설명했다.
이주현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최근 서울 아파트의 경매 동향을 보면 토허구역 주변 지역으로 수요가 확산하고 있다"면서 "대출 한도 축소와 금리 인하, 공급 부족 문제 등을 고려한 실수요자들이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