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중앙현관‧복도 등 일시 공개
한강 소설 ‘소년이 온다’의 배경지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배경이자 5‧18사적지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이 5월 한 달간 임시 개방된다. 옛 광주적십자병원 건물 전면  ⓒ광주시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배경이자 5‧18사적지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이 5월 한 달간 임시 개방된다. 옛 광주적십자병원 건물 전면 ⓒ광주시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배경이자 5‧18사적지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이 5월 한 달간 임시 개방된다.

광주시(시장 강기정)는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맞아 5·18사적 제11호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을 오는 5월 3일부터 31일까지 개방한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014년 폐쇄된 이후 11년 만이다.

개방 구간은 관람객의 안전과 관람 효율을 고려해 전면 주차장, 응급실, 1층 복도, 중앙현관, 뒷마당 등이다.

관람 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오후 1시 30분 이후에는 5·18기념재단의 ‘오월해설사’가 상주해 관람객들에게 무료 해설을 제공한다.

옛 광주적십자병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부상자 치료와 자발적 헌혈이 이어졌던 역사적 장소다. 1996년부터 서남대학교병원으로 운영되다가 2014년 폐쇄됐다.

광주시는 사적지 보존을 위해 지난 2020년 7월 매입해 관리 중이다. 

이번 개방은 ‘2025 광주방문의 해’를 맞아 5·18사적지라는 역사성을 시민과 방문객에게 널리 알려 역사문화관광 콘텐츠로 확장하기 위해서다.

특히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 배경지 중 하나인 점을 부각해 광주관광공사의 특화관광상품인 ‘소년의 길’과 5·18기념재단의 ‘오월길’ 해설 프로그램을 연계할 방침이다.

적십자병원 개방 기념 전시회도 개최한다. 전시는 ‘멈춘 공간의 이야기,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주제로 5월 3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다.

전시에는 5·18 당시 헌혈 장면과 부상자 치료 모습을 담은 사진, 병원의 역사, 관계자 증언이 담긴 영상자료 등이 선보인다. 

광주시는 개방행사 종료 후 관람객 반응과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유휴공간의 지속 활용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박용수 민주인권평화국장은 “5·18 사적지를 통해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시민과 공유하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며 “이번 전시가 기억과 공감, 참여를 이끄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