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와 내원객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와 내원객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외래진료 이용 횟수(치과 제외)가 18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23년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보건의료 질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국민 1명이 병의원을 찾아 의사(한의사 포함) 진료를 받은 횟수는 18.0회로, 전년(17.5회)보다 2.9% 늘었다.

남성은 17.4회, 여성은 21.9회 이용했다.

20∼24세(8.9회)만 2023년 한 해 외래진료 횟수가 한 자릿수대였다. 외래진료 횟수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아져 75∼79세에서 40.9회를 기록했다. 

2023년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비교 가능한 OECD 회원국 평균(2022년 6.4회)의 2.8배에 달한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를 기준으로 관절염, 골다공증 등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약 1억9383만5천회)에 따른 외래진료 횟수가 가장 많았다. 

이 질환으로 국민 1인당 1년에 3.7회 외래진료를 받았다.

1인당 치과의사 외래진료 횟수의 경우 2023년 1.7회로, 전년(1.6회)보다 소폭 늘었다. 이 또한 2022년 기준 OECD 평균(1.0회)보다 많다.

치과 진료까지 포함한 1인당 외래진료 평균 횟수(19.6회)보다 외래진료를 더 많이 이용한 지역은 서울(22.8회), 대구(22.5회), 부산(22.2회), 대전(22.0회), 전북(21.4회), 제주·광주(20.1회) 등이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다소 하락했다.

16세 이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의사의 진료 시간이 충분하다고 느낀 환자 비율은 지난해 82.5%로 2023년 83.4%년 보다 조금 낮아졌다.

의사의 설명이 이해하기 쉽다고 경험한 환자 비율도 2023년 92.2%에서 지난해에 91.8%로 조금 내렸다.

비용 문제 때문에 진료를 취소한 환자 비율은 1.5%에서 2.7%로 높아졌다.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 그룹에서 값이 비싸 진료를 취소한 비율은 2023년 3.1%에서 지난해 6.0%로 올랐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