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대신경제연구소 공동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공급망 ESG 관리 공시 수준’ 조사

동반성장위원회가 12일 발표한 'ESG 공급망 관리 수준 조사' 결과. ⓒ동반성장위원회
동반성장위원회가 12일 발표한 'ESG 공급망 관리 수준 조사' 결과. ⓒ동반성장위원회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공급망 ESG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공시한 기업이 5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는 이 같은 ESG 공급망 관리 수준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기업의 공급망 ESG 13개 프로세스 공시율을 분석한 결과 기초적인 ESG 관리 활동은 비교적 잘 수행되고 있지만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체계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율이 높은 항목으로는 △행동규범 제정 84% △파트너사 체크리스트 개발 82% △파트너사와 소통·지원 68% 등이었다.

△ESG 리스크 관리 20% △위험군 파트너사 식별 30% △파트너사 ESG 관리 성과 종합분석 25% 등은 공시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공급망 ESG 관리 수준을 평가한 25개 체크리스트를 분석한 결과 파트너사의 ESG 리스크를 식별・관리하고 시정조치를 수행하는 역량이 가장 취약했다.

△거래관계를 맺고 있는 파트너사의 ESG 리스크 식별시스템 11%, △식별 프로세스 가이드 제정 35%, △위험군 파트너사 식별절차 보유 30%, △고위험군 파트너사 시정조치계획(CAP) 관리시스템(17%) 등 전반적으로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부족했다.

중장기 로드맵 수립 공시율이 20%에 그쳤다.

안상희 대신경제연구소 센터장은 “100대 기업의 공시 수준은 우리나라 ESG 경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며 “기업들은 공시 비율이 비교적 낮은 공급망 리스크 관리에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치형 동반위 운영처장은 “ESG 경영이 기업에 지나치게 부담이 돼서는 안 된다”며 “동반위는 국내외 ESG 법‧제도에 맞추어 공급망 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나 가이드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동반성장위원회
ⓒ동반성장위원회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