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자들이 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로비에서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자들이 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로비에서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급식과 돌봄 업무 등을 담당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6일 총파업에 나선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집단 임금협상 결렬로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 기본급 정상화 ▲ 임금 격차 문제 해소 ▲ 복리수생수당 동일 기준 적용 등을 요구하면서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 올 6월부터 임금교섭을 진행해 왔다.

연대회의는 "물가가 폭등하는데 명절 휴가비는 고작 10만원을 인상했다"며 "투표 결과는 조합원들의 강한 투쟁 의지이며 더 이상 이렇게 살 수 없다는 것이 현장의 외침"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번 교섭에서 기본급 유형 중 가장 낮은 월 198만6천원(2유형)을 11만270원 높여 달라고 요구했다. 

학비연대에 따르면 사측인 교육 당국은 5만3500원 인상안을 제시했다.

노조는 지난 10월말까지 총파업 투표를 벌여 조합원 9만2948명 중 93.2%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파업 규모는 작년 3월 31일 파업과 비슷하거나 더 늘어날 전망이다.

당시는 교육부 추산 2만3516명(전체의 13.9%)의 학교 비정규직이 파업에 참여했다.

교육 당국은 급식과 돌봄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에 대비해 교육청별 상황실을 마련해 학교별 대책을 세워 대응하기로 했다.

일부 학교는 급식에 빵과 우유 등 대체식을 제공하거나 식단을 조정한다.

늘봄 학교도 강사나 자원봉사자 등을 배치하고 다른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