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원구원은 4일 좋은 일자리가 늘어남에 따라 일자리의 질이 갈수록 나아지고 있지만 여성·청년·노인은 개선 효과를 상대적으로 덜 누리고 있으며 그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원구원은 4일 좋은 일자리가 늘어남에 따라 일자리의 질이 갈수록 나아지고 있지만 여성·청년·노인은 '개선 효과'를 상대적으로 덜 누리고 있으며 그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원

고용안정성과 높은 소득 수준, 적절한 근로시간 등이 보장되는 ‘좋은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지만 근무하는 남녀 근로자의 비중 격차가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4일 발표한 '국내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구조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정규직이면서 임금이 중위소득의 125% 이상인 이른 바 ‘좋은 일자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27.0%에서 2015년 34.9%로 확대됐다. 반면 같은 기간 △괜찮은 일자리(5.7%→5.0%) △힘든 일자리(37.5%→32.6%) △안 좋은 일자리(29.8%→27.5%) 등은 모두 감소했다.

전해영 선임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일자리를 소득 수준과 고용 안정성 여부를 기준으로 △좋은 일자리(중위소득 125% 이상, 정규직) △괜찮은 일자리(중위소득 125%소득 이상, 비정규직) △힘든 일자리 (중위소득 125% 미만, 정규직) △안 좋은 일자리(중위소득 125% 미만, 비정규직)로 분류했다.

보고서는 좋은 일자리가 늘어남에 따라 일자리의 질이 갈수록 나아지고 있지만 여성·청년·노인은 '개선 효과'를 상대적으로 덜 누리고 있으며 그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성 근로자 중 좋은 일자리에서 근무하는 비중은 2006년 22.5%에서 2015년 27.7%로 5.2%포인트 올랐지만 같은 기간 여성은 4.5%에서 7.2%로 2.7%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남녀 근로자 간 좋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비중 격차가 커진 것이다. 안 좋은 일자리도 남성은 13.2%에서 11.2%로 2.0%포인트 줄었지만, 여성은 16.6%에서 16.3%로 0.3%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연령으로 비교해도 청년과 노인 일자리의 질적 개선은 미흡했다. 중년층(30세 이상 50세 미만) 근로자는 10년 동안 좋은 일자리 종사 비중이 증가했고, 안 좋은 일자리 종사 비중은 줄었다.

전 선임연구원은 “상대적으로 노동시장 개선 혜택의 수혜 정도가 낮은 여성근로자에 대하 근로 여건 개선이 요구된다”고 지적하고 △여성 고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고용 및 처우에 있어서의 차별 금지 법규를 강화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유연근무제 실효성 제고 △영아 보육 지원체계 강화 등을 통해 여성 근로자의 근로 여건 개선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