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젠더혁신 1차 정기 토론회

 

지난 19일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 젠더혁신포럼’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난 19일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 젠더혁신포럼’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젠더혁신’으로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정책, 관리, 평가에서 젠더 특성 점검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업계에서도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젠더 분석을 강화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과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가 19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젠더혁신포럼’ 첫 정기 토론회에서 이 같은 제언들이 쏟아졌다.

이 자리에서 문미옥 WISET 기획정책실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여성, 중국, 인도라는 세계 3대 경제집단 중 가장 큰 규모로 빠르게 성장하면서도 저평가돼 있는 여성경제의 확산 추세를 설명하면서 “산업적 측면에서 보면 젠더혁신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실장은 이어 “‘기술·제품 중심의 남성적 공급자 위주의 산업’에서 ‘인간 개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맞춤형 방식으로 패러다임이 전환하고 있다”며 “세분화된 소비자의 니즈(욕구)에 대한 대응이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성·젠더 분석은 이제 미룰 수 없는 필수 전략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제품 생산 이전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젠더에 대한 분석을 강화하고 점검·보완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과학기술 분야의 젠더혁신 정책으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정책과 관리, 평가 등에서 젠더 특성 점검 의무화 △젠더 결함 영향력 평가·점검 통해 지식재산의 재창출 △시장 진출에 실패한 제품·서비스 대상으로 젠더 특성에 대한 수요·요구 반영 재지원 등을 제안했다.  

문 실장은 특히 “젠더혁신을 여성이슈로 보는 시각은 옳지 않다. 이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해당되는 이슈”라며 여성에게만, 임상·연구 등 어느 특정 단계에만 고착되지 말고 전반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자 WISET 이사장은 “경제활동 기여도 측면에서 여성을 소비 주체로만 간주하지 말고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생산자로 보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명숙 홍익대 교수는 “경제활동 측면에서 여성 참여를 낮추는 요인과 어떠한 과정에서 젠더 개념이 반영되지 않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철우 산업기술대 교수는 “젠더혁신은 창조경제와 유사하게 경제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는 이슈로서 연구개발(R&D)의 젠더 이슈를 부각시켜 연구 과제로 진행하고, 젠더 관련 예산 확보와 젠더 활성화를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한편, 과학기술젠더혁신포럼은 젠더혁신에 대한 우리나라 과학기술계의 공감대를 확산하고 내년 10월 서울에서 열리는 ‘Gender Summit 2015’를 알리기 위한 모임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