꿰어맞추기식 수사 풍자
그저 웃고 즐기기엔 적당

 

극단 드림플레이의 '조선 형사 홍윤식'(성기웅 작, 김재엽 연출)은 솔직히 별 기대 없이 찾아본 공연이었다. "1933년, 경성에 셜록 홈즈가 나타났다"는 선전문구나 단두 영아 사건의 소재가 여름철에 흔히 만나는 납량물이지 싶었기 때문이다.

무대가 열리면 경성부에서 변두리에 속하는 서대문경찰서 사법계가 주무대가 된다. 그리고 사환소녀가 내레이터가 되어 극의 진행을 이끌어간다. 유아가 머리를 잘린 데다 골이 없는 상태로 내버려진 사건이 터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동분서주가 사건의 전부다.

비교적 이성적이지만 조선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일본인 주임, 일본인 아버지와 조선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형사, 어수룩하지만 사람 좋은 또 하나의 일본인 형사, 그리고 조선인이지만 일본에서 훈련받고 갓 발령받은 형사 홍윤식이 수사팀을 이루는데, 조선인들의 무지와 미신에 대한 질타와 이른바 경성제대의 과학수사팀에 대한 절대 신뢰가 뒤섞이는가 하면, 고문을 해서라도 자백을 얻어내려는 무리수가 엎치락뒤치락을 이룬다.

중심 줄거리 외에 킹콩 영화나 도깨비 이야기를 비롯한 곁가지가 보기 나름으로 필요 이상 많다 싶고 극이 좀 늘어지긴 했지만, 하루 저녁 웃고 즐기기로 작정했다면 손해날 것은 없어 보인다. 인물들의 성격이 비교적 뚜렷하게 설정되어 있는 데다가 1인 다역까지 합치면 스무명 정도가 등장해 슬랩스틱한 난장판을 이루는데, 호흡이 잘 들어맞아 이런 저런 에피소드가 잘 엮어진다.

마치 츠카 고헤이의 '아타미 살인사건'을 연상시킨다고 볼 관객도 있지 않을까 싶다. 그 작품에서는 공순이의 살해사건을 맡아 어떻게 해서든지 이를 과대포장하고자 하는 공명심이 숨은 동기로 작용하면서 형사세계로 대표되는 세태가 풍자되고 있었다면, 여기에서도 근본적으로 개화되지 못한 민초들에 대한 경멸과 이를 합리화하기 위한 꿰어맞추기식 수사가 풍자되고 있기 때문일까? 그러나 이와 같은 숨은 동기가 얼마나 관객들에게 공감되었는지는 별도의 문제다.

작가는 1933년 5월 경성 축첨정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으로서 전봉관의 '경성기담' 중에 '축첨정 단두 유아 사건'으로 게재되고, '신동아' 1933년 7월호나 당시 조선일보 및 동아일보에 보도된 기사였음을 밝히지만, 2007년이라는 그야말로 개명 천지에 다시 이를 거론해야 한다면 그 나름대로의 설득력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물론 작가와 극단으로서는 더운 한여름 밤을 웃으면서 메울 수 있는 괴기담 하나를 솜씨 있게 꾸며내는 것으로 만족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배우들의 앙상블 하나만 해도 어쭙잖은 주제의식으로 공연히 골만 아프게 만드는 연극보다 더 가치 있다고 해도 그뿐이다. 그렇다고 '골빈' 단두 유아 사건이 그 대안일까? 한국 연극을 대표하는 월간지 '한국 연극'이 30페이지에 달하는 지면을 할애하여 희곡 전부를 게재할 정도가 되기에는 단지 솜씨 있는 극작술이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있는지를 곰곰 생각하게도 된다.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