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지난 11월 29일 비정규직 법안에 대한 노사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여당 주도로 비정규직 법안의 처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정부와 여당의 비정규직법안 처리 강행에 맞서 민주노동당 지도부는 11월 28일 ‘비정규권리보장입법 쟁취를 위한’ 무기한 천막농성에 들어갔고, 민주노총은 12월 1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비정규직 법안을 둘러싸고 이목희 열린우리당 제5정조위원장은 여당을 대표하고, 단병호 민주노동당 의원은 민주노동당과 노동계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맞서고 있는 양상이다.
불현듯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명단을 찾아봤다.
국내 최초 사무직 여성 노동자 출신의 국회의원인 김영주 열린우리당 의원과 한국노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던 이목희 열린우리당 의원, 초대 서울지하철노조 위원장 출신인 배일도 한나라당 의원과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단병호 민노당 의원 등. 그야말로 화려한 노동계 출신 인사들이 포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비정규직 법안에 대한 입장은 다르고 법안 가결에 대한 선택도 다를 것이다.
비정규직 문제의 해법으로 어떤 선택이 옳은 지는 그들이 대변하는 사회세력의 이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당연하다.
다만 현재 비정규 노동자의 70% 이상이 여성 노동자라는 통계치만이 여성 의원들의 긴장과 각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YH 노조위원장 출신인 최순영 민주노동당 의원이 11월 29일 경찰청, 조달청, 국세청 등 13개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여성 비정규직 실태를 발표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정규직 여성노동자 중 모성보호 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이유로 응답자의 78%가 직장을 잃을 염려 때문이라고 답했다. 특히 20대 여성의 44.2%가 성희롱 경험을 했으며 이 가운데 89.6%가 성희롱이 벌어져도 그냥 참는다고 응답해 충격을 주고 있다.
환노위 두 명의 여성 의원인 김영주 의원과 장복심 의원. 이들을 포함해 여성 의원들의 비정규직 법안에 대한 선택이 주목된다. 한편 12월 정기국회서 비정규직 법안이 어떻게 처리되든 간에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겐 매섭고 추운 겨울이 될 것이다.

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