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가 450만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이들의 연체율도 4년만에 최대로 추산됐다.

1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분기 448만명 보다 2만명 늘어난 역대 최다 기록이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를 말한다. 고금리에 가장 취약한 만큼 한은·금융당국의 집중 감시·관리 대상이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22.7%)도 사상 최대 수준이다.

다만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568조1천억원)과 1인당 평균 대출액(1억2625만원)은 2분기(572조4천억원·1억2785만원)와 비교해 3개월 사이 4조3천억원, 160만원 줄었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작년 3분기 말 현재 1.5%로 추산됐다.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들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로, 여전히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태다.

DSR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로, 해당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보통 당국과 금융기관 등은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으로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상당수 다중채무자의 형편이 한계(70%)의 문턱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다중채무자의 26%(118만명)는 DSR이 70%를 넘었다. 갚아야 할 원리금이 소득보다 많은 DSR 100% 이상 다중채무자 64만명으로 전체의 14%를 차지했다.

전체 가계대출자로 대상을 넓히면, DSR이 70%를 넘은 차주는 279만명(14.0%·70∼100% 117만명+100% 이상 162만명)에 이른다.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다중채무자인 '취약 차주'는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이들은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를 차지했다.

직전 분기(6.4%)보다 0.1%포인트(p) 늘어 비중이 2020년 3분기(6.5%)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을 세웠다.

3분기 말 현재 취약 차주의 평균 DSR은 63.6%였고, 취약 차주 가운데 35.5%(46만명)의 DSR이 70% 이상이었다. 이들의 대출은 전체 취약 차주 대출액의 65.8%(63조4천억원)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