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연구원, 미숙아 등록 연구 결과
1.5㎏ 미만 미숙아 유병률·재입원율↓

2023년 새해 첫 아기가 1일 0시경 경기 고양시 일산 차병원에서 태어났다. ⓒ뉴시스·여성신문
ⓒ뉴시스·여성신문

1.5㎏ 미만으로 태어난 미숙아 생존율이 증가해 10명 중 9명이 생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 1.5세까지 재입원율도 46.3%에서 37.2%로 감소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극소저체중출생아 등록 연구사업 분석 결과 미숙아 생존율이 2014년 84.9%에서 지난해 89.9%로 5% 올랐다고 16일 밝혔다.

미숙아에 나타나는 주요 질환도 감소했다, 3단계 이상의 심각한 뇌실내출혈은 11.3%에서 6%로, 낭성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은 8.3%에서 6.8%로, 패혈증은 21.4%에서 13.2%로 감소했다. 2단계 이상의 괴사성 장염 역시 6.2%에서 5%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뇌성마비로 진단 받은 비율과 재입원 비율도 감소했다. 2014년 출생아와 2019년 출생아의 만 1.5세 및 만 3세 장기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만 1.5세 뇌성마비 진단 비율은 6.2%에서 4.5%로, 재입원 비율은 46.3%에서 37.2%로 줄었다. 만 3세의 경우 진단비율이 6.1%에서 5.1%로, 재입원 비율은 28%에서 21.8%로 감소했다.

우리나라는 매년 출생아 수는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미숙아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신생아집중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극소저체중출생아의 경우 영아 사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생존하더라도 여러 중증 합병증과 장기적인 성장 발달 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도 한다.

이에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 2013년 4월 대한신생아학회와 함께 한국신생아네트워크(KNN)를 출범했으며 전국 약 80개 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이 참여하는 극소저체중출생아 등록사업을 지속해 오고 있다.

매년 우리나라에서 출생하는 극소저체중출생아 중 약 2000명(80% 이상)을 등록해, 올해 10월 기준 누적 2만2000명 이상의 임상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만 18개월과 만 3세가 되는 시점에 신체검진, 질환 및 치료여부 등 추적조사를 통해 출생 시 건강상태와 치료·관리가 미숙아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오는 17일 세계미숙아의 날을 맞아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환아의 건강한 생존 뿐 아니라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경제적 질병부담 감소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