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푸어’→‘교육 과소비층’

2023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열흘 앞둔 7일 한 수험생이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으로 들어가고 있다.   ⓒ홍수형 기자
2023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지난해 11월 7일 한 수험생이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으로 들어가고 있다. ⓒ홍수형 기자

한국의 사교육비 등 양육 부담은 임신·출산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최상위권 대학 진학을 위해 소득에 비해 과도한 교육비를 지출하는 ‘에듀푸어’도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듀푸어(education poor)’는 과다한 교육비 지출로 가난해져 살기가 어려운 계층을 의미한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초·중·고 학생 사교육비 총액은 26조원이다. 전년도(23조4000억원) 대비 2조5000억원(10.8%) 증가했다. 2007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치다.

모 입시 학원은 ‘킬러문항’ 대비를 위한 모의고사로 단기간에 유명해지기도 했다. 학생들은 해당 학원에 학원비와 교재비를 포함해 월 200~300만원가량을 학원에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같은 학원이 특정 지역에 몰려있어 비수도권·저소득층은 접근이 어렵고, 교육 격차와 불평등을 키운다는 점이다.

이에 정부는 사교육비 경감 대책으로 ‘킬러문항 배제’ 등을 내세웠으나 무한 경쟁을 부추기는 ‘줄 세우기’ 입시제도가 유지되는 이상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이형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여성신문에 “사교육 문제는 다양한 사회 구조적 요소가 작용한 결과지 수능을 쉽게 낸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소수점까지 줄 세우는 경쟁 문화가 있는 한 사교육비는 경감될 수 없다”고 단언했다.

한편, (사)국어문화원연합회가 지난 7월 21~27일 국민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7.6%가 ‘에듀푸어’라는 단어를 ‘우리말로 바꿔야한다’는 데 동의했다.

가장 적절한 대체어로는 ‘교육 과소비층’(71.4%)을 꼽았다. 이어 ‘사교육 빈곤층’(56.9%), ‘교육 빈곤층’(42.3%)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