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틀 외교’→‘왕복 외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날을 맞아 18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는 소녀상이 놓여있다. ⓒ홍수형 기자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 소녀상이 놓여있다. ⓒ홍수형 기자

냉랭했던 한일 관계에 ‘훈풍’이 불고 있다. 지난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외교장관 간 7번 만나며 이른바 ‘셔틀 외교’가 재개된 탓이다.

‘셔틀 외교(shuttle 外交)’는 갈등이 있는 양국 사이를 중재하기 위해 제3자 또는 제3국을 활용하는 외교 방식을 일컫는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1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상과 양자 회담을 진행하고, 한일고위경제협의회 연내 개최 재개를 위해 일정을 조율하기로 했다. 협의회는 우리 외교부와 일본 외무성이 수석대표가 되어 각 경제부처를 망라하는 고위급 협의회로, 2017년 부산의 소녀상 설치로 일본이 반발하면서 지금까지 중단돼왔다.

지난달 28일에는 일본 3대 경제단체(경제단체연합회·상공회의소·경제동우회) 중 하나인 일본 경제동우회가 방한해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함께 ‘한-일 기업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에 따라 일본 3대 경제단체가 모두 우리 경제계와의 협력에 동참하게 됐다. 이에 정부 간 협의체뿐만 아니라 양국 기업·민간 교류가 활성화돼 실질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현재 상황은 ‘한파’나 다름없다.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은 아직도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받지 못했고, 강제동원 피해자는 ‘제3자 배상’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이야기하기 위해 매주 수요일 거리로 나서는 이들은 ‘국익을 저해하는 반일 세력’ ‘정신병자’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각종 위협과 혐오에 시달리고 있다. 피해자들은 사죄도 용서도 하지 않았는데, 양국 정부는 ‘이미 다 해결됐다’고 말한다. 누군가의 입을 막음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평화’일 수 있을까.

한편, (사)국어문화원연합회가 지난 7월7일~13일 국민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54.9%)은 ‘셔틀 외교’라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꿔야한다’는 데 동의했다. 가장 적절한 대체어로는 ‘왕래 외교’(66.5%)가 꼽혔다. 이어 ‘왕복 외교’(54.8%), ‘오가기 외교’(43.0%)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