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의 절반 이상이 상반기에 채용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7일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54.8%는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세우지 못했거나(39.7%) 채용하지 않을 것(15.1%)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상반기 조사(50.0%)보다 5%p 가까이 오른 것이다. 상반기 채용이 없다는 기업은 약 2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45.2%로 이 가운데 절반가량(50.8%)은 지난해와 채용 규모가 비슷했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은 24.6%, 늘리겠다는 기업은 24.6%였다.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로 △국내·외 경기 불황(29%) △사내 구조조정·긴축 경영(29%) 등을 꼽았다. 이어 △내부 인력 수요 없음(19.4%)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증가 등에 대비 비용 절감 차원(16.1%) △탄력적인 인력 구조조정 어려움(14.5%) △필요한 인재 확보 어려움(14.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채용을 늘리기로 한 기업들은 △미래 인재 확보(42.9%) △경기·업황 개선전망(35.7%) 등을 이유로 들었다.
기업들은 상반기 채용시장 변화 전망으로 수시채용 확대(31.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공계 선호현상이 두드러졌다. 올해 채용계획 인원 10명 중 7명을 이공계 졸업자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인문계열(32.1%), △예체능 △외국계열 등 기타 전공계열(0.4%)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졸 신규입사자 5명 중 1명(22.1%)은 경력을 가졌지만 ‘경력직’이 아닌 ‘신입직’으로 지원한 ‘중고신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신입’의 평균 경력기간은 1.4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