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1인가구 주로 대학‧회사 근처에 밀집거주
저소득 고령층 1인가구 사회적고립 위험도 높아

서울 강남구 인근 원룸가 ⓒ홍수형 기자
서울 강남구 인근 원룸가 ⓒ홍수형 기자

서울의 1인가구가 153만4000가구로 2020년 인구조사 결과보다 14만가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30 1인가구는 주로 대학‧회사 근처에 살고 있고 저소득 고령층 1인가구는 이동‧외출‧통화 적어 사회적고립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9일 서울시가 발표한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연구 결과 올해 6월 기준 서울의 1인가구는 153만4000가구로 나타났다.

2020년 11월 통계청의 인구총조사에서 나타난 1인가구 수보다 14만3000가구(10.3%)가 늘었다.

시는 SKT, 서울시립대와 협력해 인구·가구 통계 등 공공데이터와 300만 명의 가명 처리 통신데이터를 결합해 통계를 만들었다. 

2022년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기준에서는 1인가구가 많은 행정동 순위와 인구조사에서 1인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 순위가 차이를 보였다.

강남구 역삼1동이 1만6130가구로 가장 많았다. 광진구 화양동(1만5049가구), 관악구 청룡동(1만2798가구), 관악구 신림동(1만2258가구), 동작구 상도동(1만900가구) 순이었다.

2020년 인구총조사 기준 서울 1인가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1만3435가구로 관악구 청룡동이 1위였고 강남구 역삼1동(1만2735가구), 광진구 화양동(1만2704가구), 관악구 신림동(1만1942), 강서구 가양1동(1만1023가구) 등이었다.  

행정동별 연령별 1인가구 밀집지역 분포(2022년 6월 기준). 사진=서울시 제공
행정동별 연령별 1인가구 밀집지역 분포(2022년 6월 기준). 사진=서울시 제공

2030 1인가구는 대학가나 회사가 많은 특정 행정동(광진구 화양동, 강남구 역삼1동, 관악구 청룡동 순)에 몰려 살고 있다.

중장년층(40~50대)은 저층주거지(강남구 역삼1동, 강서구 화곡1동, 중랑구 중화2동 순)에서, 노년층(60대 이상)은 강북‧도봉‧노원구에서의 밀집도가 각각 높았다. 

도심(중구‧종로구)은 1인가구 수 자체는 많지 않았지만 인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통화 등으로 소통을 잘 하지 않는 1인가구는 전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비율이 더 높았다. 저소득 고령층 1인가구는 이동거리, 외출건수, 통화건수 등이 다른 집단에 비해 크게 적어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문자‧통화량 등을 토대로 유추한 소통이 적은 1인가구(하위 10%) 중 69세 이하 전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소통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명동, 을지로동, 회현동 등 도심에 거주하는 중장년 이상 1인가구의 통신 기반 소통이 적은 것으로 추정됐다.

배달앱 사용량이 많은 지역은 관악, 강남, 광진 순으로 나타나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배달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유튜브 등 동영상‧방송 서비스는 사용 횟수는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신데이터를 활용해 행정동별 배달서비스 접속건수를 분석한 결과, 관악구 신림동(월평균 18.4회), 강남구 논현1동(18.1회), 강남구 역삼1동(17.6회) 순으로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5~34세에서 가장 많았다.

유튜브 등 동영상‧방송 서비스 사용횟수는 30대에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관악구 신림동(월평균 28.1회), 강남구 역삼1동(월평균 26.6회), 강남구 논현1동(월평균 26.4회) 순으로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높았다.

이번 서울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에 공개된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는 공공‧연구기관은 물론 기업, 학생, 일반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