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수 대상 청소년 42% 재학중 드러나

청소년보호위원회는 지난 11일 ‘청소년, 왜 성적 착취의 대상이 되는가?’ 토론회를 열고 ‘1·2차 청소년 성범죄자 신상공개와 관련된 청소년 진술서 414건에서 개인형 성매매(원조교제)가 76.1%, 학교에 다니는 청소년이 41.8%나 돼 일반 청소년들에게도 청소년 성매매가 깊숙이 퍼져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한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김애령 교수는 “인터뷰 과정에서 학교 일과시간 중에 사복으로 갈아입고 성매매를 하고 들어왔다는 17세의 청소년 사례도 있었다”고 제시했다.

청소년들이 성매매를 하는 이유는 용돈·유흥비 마련이 51.5%로 가장 많았으며 생계비 마련(27.4%)이 그 뒤를 이었다. 또 15∼17세 사이에 성매매를 한 경우가 많았으나 13세 이하도 3.8%나 돼 성매수 대상의 나이가 어려지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성매매를 시작하는 경로는 개인형(원조교제)은 인터넷(58.7%)과 전화방(58.7%)이 많았고 업소형의 경우 티켓다방(38%)과 단란주점(30,0%), 보도방(14.0%) 순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발표자인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원미혜 연구원은 “청소년들은 처벌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들의 양면을 모두 고려한 정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립지지공동체 소속 생존자 대표로 나온 한 여성은 “청소년들은 어디까지나 피해자일 뿐이며 성매매 대상이 된 청소년들을 끝까지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원미혜 연구원은 “열악한 환경에서 경제 활동을 하게 되는 청소년들은 성매매의 유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청소년의 일자리를 현실화하는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시 늘푸른여성정보센터 조정아 소장은 “청소년 성매매를 없애기 위해서는 성매매 업소의 처벌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있어야 하며 7∼8개에 이르는 청소년 관련 부처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서울지역에 36개뿐인 청소년 보호시설을 늘려야 하고 10대 아이들과 상담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자립지지공동체 김미령 대표의 경우 “성매매의 주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데도 성매수 대상인 청소년들에게 집중하는 것은 그들에게 또 한번 상처를 주는 일”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의 한계를 지적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는 “성매매를 한 청소년들은 자기 몸의 상품화를 당연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고 이는 어른들의 성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특히 어린 나이에 성매매를 시작하는 아이들은 성폭력 같은 상처를 입은 경우가 많기에 이들에 대한 특별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강자 경찰청 여성청소년 과장은 “경찰서에 성매매 전담 부서를 두기에는 인력이 너무 모자라 업주들을 일일이 단속하기 어렵다. 시민과 연대한 범국민운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7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은 성매매 거래 규모가 지난해 기준으로 24조원에 달해 국내 총생산(GDP)의 4.1%에 이르며 총 33만 명의 여성이 성매매 산업에 종사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여성단체들은 이 조사가 국내 성매매 규모를 축소한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조영숙 실장은 “전국의 성매매 업소에서 일하는 여성이 33만 명이라는 결과는 성매매 실태를 완전히 축소한 것이다. 1개 업소의 여성 종사자와 조사 대상업소 숫자가 실제와 많이 다르기 때문에 나오게 된 결과”라며 “실제로는 200만 명 정도의 여성이 성매매 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직접적인 현장 조사에 근거한 정확한 실태 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조혜원 기자nancal@womennews.co.kr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