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3.1운동과 여성’ 범국민 발대식 및 토론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3.1운동과 여성’ 범국민 발대식 및 토론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3·1운동을 기점으로 여성독립운동이 시민권을 쟁취하는 운동이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홍규 동서대 중국연구센터 부센터장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3·1운동과 여성’ 발대식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먼저 시민권의 개념으로 “정치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권리만이 아니라 책임을 동반하고, 시민이란 민주주의국가의 주권자이자 공동의 책임을 가진 정치적 주체”라고 설명하고 “시민권이라는 개념을 쓸 땐 세계보편화 가치, 평등, 인권, 평화 등 세계보편 가치 추구하는 세계시민주의적인 시민권이어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일제 치하의 독립운동은 단순한 민족주의적 운동의 일환으로만 볼 수 없고 세계평화를 위한 시민권 운동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며 “특히 한반도 여성들은 피식민인으로서뿐 아니라 봉건적 가부장 질서 하에 이중적으로 억압받았던 바, 자신의 정체성을 자각하고 3·1운동을 통해 자유 민주주의, 세계평화를 지향하는 시민권을 남성과 동등하게 쟁취하고자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센터장은 “임시정부가 규정한 여성참정권 또한 1922년에서야 확립한 영국보다 3년 빠른 선언”이었다며 “비록 식민 치하였지만 임정에서 세계시민주의적 세계평화를 위한 시민권 획득의 외침이 이미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흐름은 근우회로 이어진다. 이 부센터장은 “1927년 최대의 여성조직인 근우회가 계몽주의운동으로 나타난 민족주의 여성운동계열과 여성노동운동으로 분기된 사회주의 독립운동의 연합으로 탄생했고, 창립 선언문에서 성운동이 곧 독립운동이며 이는 단순한 해방운동이 아니라 세계 인류 전체를 위한 행동임을 분명하게 적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부센터장은 “여성독립운동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있는 연구가 돼야 하고, 세계시민으로서 국가나 민족 가치 포기 않으면서 보편적 인권, 자유, 평화, 평등 세계평화를 추구하는 민족구성원이 돼야 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