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민운동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 민주주의 발전을 진단하고 새 정부 출범을 맞는 시민사회의 대응전략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사)광주NGO시민재단(이사장 정구선)과 한국NGO학회(회장 박상필)는 23일 광주NGO센터에서 ‘한국NGO학회 101차 포럼’을 개최했다.

‘국정운영을 위한 시민사회의 전략적 활용’이란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총 3개의 세션으로 나눠 발제 후 토론형식으로 진행됐다.

토론에 앞서 개회식에서는 박상필 한국NGO학회장의 개회사, 서정훈 광주NGO센터장의 환영사, 오재일 전남대 교수와 정영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의 축사가 이어졌다.

제1세션에서는 조정관 전남대 교수의 사회로 이지문 연세대 교수가 ‘촛불혁명 이후 시민권력의 제도화와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토론에는 정영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이자 동강대 교수, 김희송 전남대 교수, 유봉식 광주전남진보연대 공동대표, 김강렬 시민생활환경회의 이사장 등 지역 학계와 시민사회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이 교수는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집회 이후 벌어진 제도화와 사회운동에 대한 논의가 대통령 탄핵촛불집회 이후에도 논쟁이 치열해진 촛불의 제도화, 광장정치의 제도화를 어떻게 이뤄낼 것인지 중요하다”며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제2세션에서는 오재일 전남대 교수의 사회로 선학태 전남대 교수가 ‘사회적협치와 연합정치, 그리고 시민사회의 역할’이란 주제로 발제했다.

선 교수는 촛불 민주주의의 완성을 사회·정치적 대타협의 산물로 봤다.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민주화-복지국가담론에서 시민사회 전략을 제시했다.

토론에는 오수길 고려사이버대 교수, 박종민 하남종합사회복지관장, 안정선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회장 등 복지전문가들이 나섰다.

제3세션에서는 엄승용 전북대 교수의 사회로 박상필 성공회대 교수가 ‘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 시민사회의 이니셔티브’란 주제로 발제했다. 박 교수는 한국사회가 아시아공동체의 평화와 번영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만큼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과 전략을 제시했다.

토론에는 김찬호 광주트라우마센터팀장, 임낙평 국제기후환경센터 대표이사,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등 시민사회전문가 등이 참여했다.

서정훈 광주NGO센터장은 “촛불집회 이후 개헌, 지방분권, 직접민주주의 등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진로를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고 시민들의 에너지에 전 세계가 놀라고 있다”면서 “정권 교체와 새정부 출범 이후 우리 시민사회가 제도화와 사회운동 측면에서 어떤 전략을 갖고 준비하고 성장할 수 있을지 점검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