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 중 공인중개사 5년 2개월 만에 11만명 아래

2025-11-26     유영혁 기자
서울 시내 한 부동산중개업소. ⓒ연합뉴스

부동산 경기 침체와 정부의 수요 억제 대책 등의 영향으로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 숫자가 5년 2개월 만에 11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6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는 10만997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8월(10만9931명) 이후 5년 2개월 만에 11만명을 밑도는 것이다.

국내 공인중개사 자격증 보유자가 작년 기준 55만1879명인 점을 고려하면 5명 가운데 1명만 사무실을 운영 중인 셈이다.

올해 6·27대책과 10·15대책 등 수요 억제대책으로 거래가 대폭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에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대책에 이어,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와 거래량이 더 줄었다.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는 지난 8월(583명) 협회가 2015년 중개사 개·폐·휴업 현황 집계를 시작한 이래 월간 역대 처음으로 600명 아래로 떨어졌다.  9월(666명)과 10월(609명)에도 600명대에 그쳤다.

협회 관계자는 "주택 매매 시장과 임대차 시장은 물론, 지방 토지 시장도 거래량이 줄면서 전국적인 부동산 유통 시장 불황이 상당히 오래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폐·휴업 공인중개사가 신규 개업 공인중개사보다 많은 현상은 2023년 2월부터 지난달까지 2년 9개월째 이어졌다.

부동산 중개 업황 악화는 집값이 하락하고 거래량이 줄기 시작한 2022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했고, 이후 침체의 늪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양상이다.

지난해 10월 26일 시행된 제35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는 총 14만8004명(이하 1·2차 응시자 합산치)이 원서를 내 응시자 수가 2016년(18만3867명) 이후 8년 만에 20만명을 밑돌았다.

역대 최다 응시자를 기록한 2021년(27만8847명)보다는 3만명 이상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