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3분기 성장률 주요 26개국 중 3위...내년 2.3% 전망

2025-11-26     유영혁 기자
31일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세계 주요국 중 최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1.166%로, 전날까지 속보치를 발표한 26개국 중 3위를 기록했다.

이스라엘이 2분기 -1.1% 역성장에 이은 기저효과에 3분기 2.967%로 뛰어 1위를 했고, 고성장을 지속 중인 인도네시아(1.216%)가 2위였다.

중국은 3분기 1.1%에 그쳐, 분기 기준으로 2022년 2분기 이후 3년여 만에 처음으로 우리나라보다 낮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영국(0.082%), 독일(0%), 프랑스(0.504%) 등 유럽 주요국도 저성장을 면치 못했다. 일본은 -0.442%로 26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다

한국 경제는 올해 '상저하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분기 GDP 성장률은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0.219%까지 하락했다. 국제 순위도 전체 37개국 중 34위로 저조했다.

2분기에는 미국 상호관세 충격 속에서도 수출 호조 덕분에 0.675%로 비교적 선방해 37개국 중 10위로 순위가 올랐고, 이런 성장세가 3분기까지 이어졌다.

한은이 오는 27일 경제전망을 통해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내년 2% 중반대에 가까운 고성장을 예상했다.

노무라증권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2.3%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반도체 수출 호조로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민간 소비가 활성화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을 근거로 했다.

이는 정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이 각각 제시한 1.8%는 물론 한국금융연구원(2.1%)이나 OECD(2.2%)보다도 높은 전망치다.

한은이 지난 8월 제시한 1.6%보다는 0.7%포인트(p)나 높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분석가는 보고서에서 “주가와 집값이 동시에 오르면서 부의 효과가 일어나 소비를 회복시킬 것”이라며 “내년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