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동 여성 연쇄살인, 20년만에 범인 확인...빌딩 관리인 이미 사망
20년 동안 미제로 남아있던 ‘신정동 여성 연쇄살인 사건’의 범인이 확인됐다. 사건이 발생했던 빌딩의 관리인으로 이미 사망해 공소권 없음 결정이 내려질 전망이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21일 브리핑을 열고 신정동 연쇄살인 사건의 피의자정모(범행 당시 60대)씨를 특정했다고 밝혔다.
정씨는 범행 장소였던 Y빌딩의 관리인으로, 지난 2015년 이미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5년 6월과 11월 양천구 신정동 주택가 골목에서 20대 여성과 40대 여성이 5개월 간격으로 변사체로 발견됐다. 두 여성은 목이 졸려 숨졌고 머리에는 검은 비닐봉지를 쓴 채 쌀포대나 돗자리에 끈으로 묶여 있었다.
정씨의 범행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수법으로 이뤄졌다. 정씨는 서울 양천구 Y빌딩에서 경비원으로 근무하던 당시인 2005년 6월, 휴일에 병원 진료차 빌딩을 방문한 A씨에게 “1층 문이 잠겼으니 지하로 가라”며 유인했다. 정씨는 A씨를 빌딩 지하 창고로 데려가 현금 등을 빼앗고 성폭행한 후, 양손으로 목을 졸라 살해했다.
시신을 노끈과 쌀포대로 결박해 자신의 차량으로 옮긴 후 인근 초등학교 주차장에 유기했다. A씨의 몸 안에서는 생리대와 휴지 등이 발견됐다.
같은 해 11월, 정씨는 귀가 중이던 B씨를 같은 방법으로 지하 창고로 유인했다. 정씨는 B씨에게 폭행을 가해 늑골 골절 등 중상을 입힌 뒤 성폭행하고 목을 졸라 살해했다. 이후 노끈과 쌀포대로 시신을 결박해 인근 주택가 노상에 버렸다.
경찰은 전담수사팀을 꾸려 8년간 수사를 이어갔지만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했고 사건은 2013년부터 미제로 전환됐다.
경찰은 두 사건 모두 피해자 시신에서 모래가 발견된 점을 고려해 2005년 서남권 공사현장 관계자, 신정동 전·출입자 등 23만여명을 수사대상자로 선정하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1514명의 유전자를 채취·대조했다.
범인이 조선족일 수도 있다는 판단에 중국 정부의 자료와 대조하는 등 국제공조 수사까지 벌였으나 일치하는 DNA를 발견하지 못했다.
경찰은 사망자로 대상을 확대해 사건과 관련성 있는 56명을 후보군에 올린 뒤 범행 당시 신정동의 한 빌딩에서 관리인으로 근무한 A씨를 유력 용의자로 특정했다.
A씨는 이미 2015년 사망 후 화장 처리돼 유골 확보가 불가능했다. 경찰은 A씨가 생전 살았던 경기 남부권 병의원 등 40곳을 탐문 수사하고 이 중 한 병원에서 보관하고 있던 A씨의 검체를 확보했다.
국과수의 감정 결과는 '범인과 일치'였다. 20년 미제 사건의 범인이 특정됐으나 A씨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경찰은 A씨가 이미 사망한 만큼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을 종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