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환·최영애·송두환 전 인권위원장 “안창호·김용원 동반 사퇴해야” [전문]
전임 인권위원 및 사무총장 성명서 발표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는 가운데 전임 인권위원과 사무총장들도 안창호 위원장을 향해 즉각 사퇴할 것을 촉구했다.
인권위 전임 인권위원 및 사무총장 일동은 20일 성명서를 내고 “안창호 위원장과 김용원 상임위원은 즉각 동반 사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성명서에는 안경환·최영애·송두환 전임 인권위원장과 김기중·김수정·남규선·문경란·문순회·박경서·박찬운·배복주·석원정·양현아·원형은·유남영·윤석희·이경숙·이준일·임성택·장명숙·장주영·정강자·정문자·정재근 전임 인권위원, 김칠준·조영선·송소연·박진 전임 사무총장 등 총 28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인권위는 창설 이후 가장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급기야 과장급 간부 직원들까지 실명으로 위원장 사퇴를 요구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이는 인권위가 더 이상 정상적 인권기구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위기의 직접적 책임은 두 사람에게 있다. 바로 안창호 인권위원장과 김용원 상임위원”이라며 “안창호 위원장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왔고, 역대 인권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차별금지법 제정 노력까지 사실상 중단시킨 장본인이다. 이는 인권위의 설립 취지와 존재 의의를 스스로 훼손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김용원 상임위원은 막가파식 언행으로 인권위를 조롱거리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채 상병 사망 사건 처리에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으로 특검의 수사를 받는 초유의 사태까지 일으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두 사람이 윤석열 내란 사태 이후 윤석열의 기본권 옹호를 내세워 반역사적 결정을 주도했다는 점”이라며 “헌정질서를 파괴한 권력자에게 인권이란 미명으로 사실상 면죄부를 부여한 이 결정은 인권위 역사상 가장 큰 오점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질타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인권위는 인권의 최후 보루”라며 “그 보루가 다시 설 수 있는 첫걸음은 인권의 가치를 스스로 훼손한 두 사람의 퇴진에서 시작돼야 한다. 인권위는 이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전임 인권위원 및 사무총장 성명서 전문.
전임 인권위원 및 사무총장 성명서
안창호 위원장·김용원 상임위원은 즉각 동반 사퇴하라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는 지금 창설 이후 가장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급기야 과장급 간부 직원들까지 실명으로 위원장 사퇴를 요구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이것은 인권위가 더 이상 정상적 인권기구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 위기의 직접적 책임은 두 사람에게 있다. 바로 안창호 인권위원장과 김용원 상임위원이다.
안창호 위원장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왔고, 역대 인권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차별금지법 제정 노력까지 사실상 중단시킨 장본인이다. 이는 인권위의 설립 취지와 존재의의를 스스로 훼손한 행위다.
김용원 상임위원은 막가파식 언행으로 인권위를 조롱거리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채 상병 사망 사건 처리에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으로 특검의 수사를 받는 초유의 사태까지 일으켰다. 또한 마지막 희망을 가지고 인권위를 찾아온 민원인을 수사 의뢰하는가 하면 함께 일하는 인권위 직원들을 겁박했다. 이는 인권위원으로서 금도를 넘어도 한참 넘은 행위였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두 사람이 윤석열 내란 사태 이후 윤석열의 기본권 옹호를 내세워 반역사적 결정을 주도했다는 점이다. 헌정질서를 파괴한 권력자에게 인권이란 미명으로 사실상 면죄부를 부여한 이 결정은 인권위 역사상 가장 큰 오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제 인권위는 두 사람의 존재만으로도 더 이상 존립 근거를 설명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전임 인권위원과 사무총장 일동은 다음과 같이 준엄하게 요구한다.
1. 안창호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라.
2. 김용원 상임위원은 즉각 동반 사퇴하라.
우리는 실명으로 사퇴를 요구한 인권위 직원들의 용기 있는 행동에 지지와 연대를 보낸다. 인권위는 인권의 최후 보루다. 그 보루가 다시 설 수 있는 첫걸음은, 인권의 가치를 스스로 훼손한 두 사람의 퇴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인권위는 이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
2025년 11월 20일
전임 인권위원 및 사무총장 일동
[안경환, 최영애, 송두환(이상 3인 전임 인권위원장), 김기중, 김수정, 남규선, 문경란, 문순회(퇴휴), 박경서, 박찬운, 배복주, 석원정, 양현아, 원형은, 유남영, 윤석희, 이경숙, 이준일, 임성택, 장명숙, 장주영, 정강자, 정문자, 정재근(법안) (이상 21인 전임 인권위원 가나다순), 김칠준, 조영선, 송소연, 박진(이상 4인 전임 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