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민주동문회 “공학전환공론화 과정, 투명하게 공개해야”

2025-11-04     신미정 기자
동덕여자대학교 본관 전경. ⓒ신미정 기자

동덕여자대학교가 남녀공학전환 논의를 숙의하겠다고 진행하고 있는 ‘공학전환공론화’ 논의에 대해, 동덕여자대학교 민주동문회가 민주성과 투명성을 지적하며 학교 당국의 책임 있는 응답을 촉구했다.

여성의 해방과 평등, 대한민국의 민주와 평화를 위해 노력한 동덕여자대학교 동문들의 뜻을 모아 지난 6월 28일 설립된 동덕여자대학교 민주동문회(이하 민주동문회)는 지난달 29일 입장문을 내고 “지난 4개월간 진행된 공학전환공론화 과정이 보여주기식 형식에 그쳐서는 안된다”며 “절차와 내용에서 민주성과 투명성이 실질적으로 보장됐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학교 측은 지난 7월 남녀공학 전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학생, 교직원, 교수, 등 학내 구성원을 포함한 숙의기구 ‘공학전환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후 지난 9월 22일과 24일 양일간 공학전환공론화 마지막 절차로, 학내 구성원 440명이 참여한 ‘타운홀미팅’을 진행했다.

타운홀미팅에 대해 민주동문회는 “공론화위원회 출범 당시 (학교가) 약속했던 ‘상시 소통’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학교 홈페이지에 형식적 절차와 진행 경과만 게시됐다. 숙의 기구 참여자 구성은 제한적이었고 특히 동문 참여자 선정 과정과 기준도 명확히 공개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타운홀미팅의 핵심은 책임자가 직접 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고 질의에 성실히 답변하는 투명한 대화에 있지만, 총장과 처장단 등 대학 운영의 주요 책임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결과적으로 타운홀미팅은 제한된 정보와 시간 속에서 깊이 있는 상호 소통과 토론보다는 공학 전환에 대한 단순 찬반 의견 표출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의견수렴 자료에 대한 신뢰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민주동문회는 “숙의 과정에서 수렴된 구성원의 의견이 어떤 방식을 거쳐 권고문에 반영되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면서 공론화위원회의 권고문 성안 이전에 구성원 의견수렴 자료, 공론화위원회의 내용, 권고안 도출 절차 등 전 과정 공개를 요구했다.

실제로 타운홀미팅에 참여했던 동문 A씨는 “사회자의 설명이 지나치게 길었던 반면 정작 토론 시간은 부족했다”면서 “퍼실리테이터(그룹토론 진행자)가 속기를 빠르고 정확하게 하지 못했고 반드시 기입해 달라고 했던 ‘이사장과 재단비리’ 문제는 누락된 것을 확인하고서 정정을 요구했으나, 이후 확인할 길이 없었다”고 말했다.

참여 재학생 B씨는 “사회자의 안내 멘트가 너무 길었고, 토론에서는 주최 측 자료집 내용 중에서만 발언해야 하는 분위기가 조성됐다”며 “자유성을 억압하는 것 같아 불편했다”고 말했다.

또한 민주동문회는 학교 측에 동덕재단의 비리를 지적하며 대학의 미래 발전을 위한 근본적 방안 제시를 촉구했다. 민주동문회는 “교육비 환원율, 교수 충원율 등 교육의 질을 가늠하는 각종 지표에서 동덕여대가 하위권을 차지하고 있음을 다시금 확인했다”면서 “학교법인의 재정 책임과 비리 의혹, 열악한 교육환경 문제는 회피한 채 공학전환 여부를 두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정당한 요구를 외면하는 것”이라고 했다.

한편 타운홀미팅을 진행했던 코리아스픽스는 학교 측에 타운홀미팅에 대한 주요 내용을 전달했으며,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공론화위원회는 이를 바탕으로 전체 논의 결과를 정리한 ‘권고문’을 작성해 11월 중 학교 측에 전달할 계획이다. 권고문은 법적 구속력을 갖는 것은 아니며 학교는 이를 토대로 최종 결정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