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영 부의장, 베트남전 피해생존자에 “진심으로 죄송…진상 규명에 함께 하겠다”
이학영 국회부의장이 베트남전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학살 피해생존자를 만나 사과의 말을 전하고 진상규명에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이 부의장은 19일 국회 부의장실에서 열린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피해 생존자 면담 자리에서 두 명의 응우옌티탄 씨를 만나 “미안하고 죄송하다”고 말했다. 사과를 들은 탄 씨(65)는 눈시울을 붉혔다.
이어 이 부의장은 “늦게나마 이렇게라도 판결을 받게 된 것이 다행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앞서 2020년 4월, 퐁니마을 학살 피해자인 탄 씨는 한국 정부를 상대로 낸 국가배상소송을 제기했고, 올해 1월 사법부는 1심에 이어 한국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하지만 2월 국방부는 항소심에 불복해 대법원에 상고장을 제출했다.
이 부의장은 “한국도 베트남처럼 식민지 시대를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또 죽고 감옥에 가서 했던 기억이 있다”며 “대한민국이 제대로 이 문제를 바라보고 피해에 대해서 사죄하고 보상할 수 있게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국가는 또 국가의 입장이 있어서 여러 가지 늦어지고 있지만, (베트남전 민간인학살은) 있었던 진실이기 때문에 제대로 밝혀져서 피해보상을 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국회에서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또 국회의원으로서 진심으로 죄송하고 앞으로 피해 진상 규명을 하는데 함께 하겠다”고 했다.
이에 탄 씨는 “학살이 일어난 지 5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그럼에도 저희 피해자의 아픔은 여전하다. 학살에 의해 제가 사랑하는 가족들이 죽었기 때문이다”고 했다.
이어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한국 군인들이 왜 저희같이 무고한 사람을 죽였는지. 이 고민에 대한 답을 아직 얻지 못했다”며 “이 자리에서 국회의장에게 부탁드린다. 저희 같은 피해자의 아픔에 공감해주고, 저희를 도와달라”고 전했다.
이날 베트남전쟁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 네트워크는 △베트남전 진실규명법 제정 △베트남전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학살에 대한 사실 인정 △공식 사과 촉구 국회 결의안 채택 △하미 마을 위령비 비문 문제 해결 촉구 등을 요청사항을 이 부의장에게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