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7개월 만에…이태원 특조위, 본격 진상규명 착수

이태원참사 사망사건 진상규명 등 49건 조사 개시 의결 유가족들 “진실 밝혀내길”

2025-06-17     김나연 기자
송기춘 10·29 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이태원참사 특조위) 위원장이 17일 서울 중구 이태원참사 특조위에서 열린 제27차 위원회 회의를 마치고 조사 개시를 결정한 것과 관련해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10·29 이태원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이하 ‘이태원참사 특조위’)가 출범 9개월 만에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이태원참사 특조위는 17일 서울 중구 특조위 대회의실에서 제27차 위원회를 열고 제1호 신청 사건인 ‘10·29 이태원참사 사망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을 포함해 총 49건(신청 사건 41건, 직권조사 사건 8건)의 조사 개시를 의결했다. 이 중 35건은 국내외 유가족이, 5건은 생존자 및 피해자가 신청했으며, 직권조사 사건은 재난 예방 시스템과 제도 개선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유가족 36명과 생존 피해자 1명, 시민단체 관계자 9명 등 40여 명이 참석해 방청했다. 첫 조사 개시 결정이 의결되자 일부 유가족들은 눈시울을 붉히며 흐느꼈다. 송해진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참사 발생 2년 7개월여 만에 조사가 시작되는 의미 있는 날”이라며 “진상규명 조사가 그날의 진실을 밝혀낼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제1호 신청 사건은 유가족협의회가 지난해 10월 신청한 것으로, △희생자의 사망부터 가족에게 인계되기까지의 행적 △인파 밀집에 대한 예측 및 대책 수립 여부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참사 간의 연관성 등 주요 쟁점을 다루게 된다.

송기춘 특조위원장은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오랫동안 아픔과 슬픔을 견디며 위원회 출범과 조사 개시를 기다려온 유가족과 피해자, 시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드린다”며 “단순한 진상 규명이나 책임 소재 규명에 그치지 않고 같은 참사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까지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특조위는 이미 지난달부터 대통령실과 관련 기관에 상황보고서, 대응 자료 등 참사 관련 기록물 제출을 요청했으나, 아직 실질적인 자료는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송 위원장은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측은 ‘기록물 관리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했으며, 대통령기록관도 ‘가능하면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제출된 자료는 없다”며 “국가기록원 이관이 진행 중이라고 해, 기록관과 계속 협의하며 최대한 확보에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특조위는 또한 경찰청과 법원, 국회 국정조사 자료 등을 바탕으로 참사 당일 시간대별 상황 정리에 착수한 상태다. 조사 활동 기간은 이날부터 1년이며, 필요 시 3개월 연장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