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 민간인학살 진실규명’ 청원, 달성까지 4천명 남아

피해생존자들, 23일 대통령실 직접 방문해 서명 제출 예정

2025-06-17     신다인 기자
동명이인의 민간인학살 피해생존자 하미 마을 응우옌티탄(좌)과 퐁니 마을 응우옌티탄(우) ⓒ베트남전쟁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 네트워크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피해 문제와 관련해 진실규명을 촉구하는 시민 청원이 목표 달성까지 4천명이 남았다. 청원 마감은 22일 자정까지다.

한베평화재단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베트남전 진상규명 TF 등으로 구성된 ‘베트남전쟁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 네트워크’는 지난달 22일 사회적 협동조합 빠띠에 새 정부에 ‘베트남전 민간인학살 인권침해 문제 진실 규명’을 촉구하는 청원을 게시했다. 청원 목표는 1만 명이며, 17일 오후 1시 기준 6538명이 서명했다.

시민사회 네트워크는 “베트남전 민간인학살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는 이제껏 부인하고 외면해 왔다”고 했다. 2020년 4월,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피해자인 응우옌티탄(65)씨는 한국 정부를 상대로 낸 국가배상소송을 제기했고, 올해 1월 사법부는 1심에 이어 한국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하지만 2월 정부는 항소심에 불복해 대법원에 상고장을 제출했다.

청원 참여자들은 대통령에게 △국가책임 인정 판결 수용 △전쟁범죄 은폐 인정과 사죄 △진상조사를 통한 민간인학살 등 인권침해 사실인정과 공식 사과 △전쟁기념관 전시 등 국가 공식기억 조치 등을 촉구하고 있다.

시민 대표단은 퐁니·퐁녓마을 학살 생존자 응우옌티탄(65) 씨와 하미마을 학살 생존자 응우옌티탄(68·동명이인) 씨와 함께 오는 23일 대통령실을 방문해 시민들의 서명이 담긴 청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권현우 한베평화재단 사무국장은 여성신문에 "베트남전 피해생존자들의 고통과 외침은 오늘날 우리가 싸우고 있는 국가폭력과 인권, 평화의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6년째 이어지고 있는 베트남전 진실규명 평화운동 사상 처음으로 대규모 시민 청원이 진행되고 있다. 1만 명을 넘는 수많은 한국 시민들의 요구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께 해주시길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