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위한 마포형 특화보육모델 개발

공공 책임 강화와 돌봄 수요 반영

2025-05-21     김나연 기자
마포구 특화보육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마포구

서울 마포구(청장 박강수)는 ‘아이 키우기 좋은 마포, 함께 키우기 좋은 마포’라는 목표 아래 ‘마포형 특화보육모델’ 개발을 위한 정책연구에 착수했다.

마포구는 지난 13일 ‘마포구 특화보육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해 과업의 주요 내용과 추진 방향, 세부 일정 등을 공유했으며, 해당 용역은 오는 7월 중 완료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단순한 유치원-어린이집의 통합이 아닌, 영아와 유아의 발달단계를 구분한 연령별 맞춤 보육체계 설계를 핵심으로 한다. 동시에 △무상보육 추진, △종사자의 공무원화, △최적의 물리적 환경을 갖춘 보육시설 조성 등 보육의 국가책임제 실현을 위한 구조적·제도적 해법을 찾는다.

또한 마포구에서 운영 중인 ‘베이비시터하우스’를 중심으로, 연장보육과 맞춤형 돌봄이 가능한 보육모델 확산 방안을 연구한다. ‘베이비시터하우스’는 기존 국공립어린이집을 활용한 사업으로, △운영시간 연장을 통한 돌봄 시간 확대 운영 △보조교사 또는 보육도우미 추가 배치를 통한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보육실 면적 기준 상향을 통한 넓은 보육공간 확보로 아이들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했다.

구는 이번 연구용역에 베이비시터하우스 운영을 더해 현장의 성과와 한계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보육모델의 실효성과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개발된 보육모델을 마포 전역에 적용하는 것은 물론, 향후 중앙정부에 정책 제안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이번 연구 용역으로 부모의 걱정을 덜고, 아이의 하루를 더욱 따뜻하게 만들겠다”라며 “안심할 수 있는 보육환경 조성을 위해 공공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