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강화 후 서울 아파트 거래 다시 위축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재지정된 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위축되고 있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는 3353건으로 전월(9675건) 보다 65%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647건)보다는 30% 줄었다.
올해 2∼3월 거래가 급증하고 신고가가 속출했던 강남3구(서초·강남·송파)는 3월에서 4월로 넘어오며 송파(865건→63건), 강남(802건→37건), 서초(410건→11건) 모두 거래가 크게 줄었다.
실거래 신고 기간이 한 달인점을 감안하면 아직 4월 거래 신고기간은 남았지만 전달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7월 8191건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하락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3천 건대에 머물렀다.
올해 2∼3월 강남권의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이 '잠깐 해제'되면서 2월 6462건, 3월 9675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88.1%, 47.7% 늘었다.
정부와 서울시는 지난 2월 12일 잠실·삼성·대치·청담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집값이 급등할 조짐을 보이자 35일 만에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4월 들어 매매뿐 아니라 전월세 거래도 주춤하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지난달 9011건으로 전월 대비 32.8% 감소했다. 월세 거래는 6324건으로 23.1% 줄었다.
전세와 월세 거래는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평균 거래 금액을 보면 지난달 매매는 10억7천674억원으로 전월 대비 21.7% 하락했다.
지난 2월 14억6898억원에서 3월에 13억8027억원 등으로 거래금액도 내림세가 이어졌다.
전세 보증금은 평균 5억4882만원으로 1.6% 떨어졌다.
업계는 대선 이후에도 주택 담보 대출 규제나 금리 상황에 따라 관망세가 거래 하락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