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경선 당원투표50·여론조사50 확정…김동연 ·김두관 반발

12일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 "당원주의 시대 천명, 당원들의 후보 선출 권리 강화" 비명계 즉각 반발 "결과 뻔해"

2025-04-13     신미정 기자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1차 회의에서 이춘석 위원장(왼쪽 세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후보 경선 방식을 당원투표와 여론조사를 절반씩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확정했다. 비명계 인사인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은 즉각 반발했다.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12일 국회에서 제5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런 방식의 대선 경선 상식을 확정한 뒤 의원총회 보고와 최고위원회에 보고했다.

당초 민주당은 지난 두 차례 대선 때처럼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을 모두 선거인단으로 포함해 투표를 진행하는 국민경선(국민선거인단)과 국민참여경선을 놓고 저울질했다.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이 대상으로, 약 110만명의 권리다우언에게 50%의 권리가 배정된다. 나머지 50%인 일반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 100만개를 추출해 진행한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이번 경선 규칙에 대해 “지난해 1차 전국당원대회를 개최하고 당원주의 시대를 열겠다고 천명했다”며 “정당의 주인인 당원들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게 당원주의를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했다.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즉각 반발했다. 당원 비율이 커질수록 당내지지 세력이 큰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하다는 점에서다.

김동연 경기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누가 더 유리하겠다’라는 것이 빤히 보이는 규칙은 공정한 규칙이 아니다”고 했다.

그는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탄핵의 광장에서 형성된 응원봉 연대의 힘을 국민선거인단 경선으로 모아 정권교체를 이루자는 국민과 민주 진영의 염원을 외면한 것”이라고 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입장문을 내고 “경선의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규정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서면으로 입장 전달을 요구한 것 외에는 어떤 논의나 소통도 없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 측은 경선 보이콧 가능성도 시사했다. 백왕순 김두관 후보 캠프 대변인은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 가서는 절대 안 된다”며 “‘어대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경선 방식은 중앙위원회와 전 당원 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당은 오는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