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대선 출마 선언…“7공화국 여는 개헌 대통령 되겠다”

진보 진영서 처음으로 대선 출마 공식화 “4년 중임제 개헌 필요…임기 단축도 기쁘게 받아들일 것”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제안…“‘어대명’으로 본선 승리 어렵다”

2025-04-07     김세원 기자
김두관 전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당원존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전 의원이 진보진영 대권주자 중 처음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김 전 의원은 7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 당원존에서 대선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제7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백척간두 진일보의 결기로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내란종식, 국민통합, 정권교체의 첫발을 내딛겠다”며 “남해 이어리 이장을 시작으로 남해군수와 행자부 장관, 경남도지사, 두 번의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이 자리까지 왔다”고 말했다.

이어 “저의 정치행보는 나를 죽이고 당을 살리는 길이었다. 지역주의와 싸우기 위해 경남도지사에 3번 도전해 당선됐고, 아무도 가지 않으려 한 김포 재보궐에 나갔다”며 “김포에 터를 잡은 이후 당의 부름을 받아 다시 경남으로 내려갔다. 그 과정에서 제 개인의 당선, 승리를 위해 좌고우면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전 의원은 “저는 개헌 대통령이라는 이름으로 출마를 결심했다. 제7공화국을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들이겠다”며 “대한민국의 대전환, 국가 대개혁을 위해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도입도 제안했다. 그는 “완전개방 오픈프라이머리로 압승해야 한다”며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통해 당선된 대통령 후보는 압도적으로 21대 대통령이 되고, 냉전극우 세력을 제압하고 정치개혁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 예정된 선거 결과는 정치 후진국에서나 있는 일이다. 민주주의가 아니”라며 “중도 확장성이 부족하면 윤석열 같은 후보에게도 패배하는 결과가 또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저 김두관은 중도 확장성과 본선 필승 후보다. 민주진보 개혁·탄핵 찬성·계엄 반대 세력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확실한 후보”라며 “이 연합을 만들어야 확실하게 승리와 내란을 종식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또한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대선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제 우리는 제7공화국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제6공화국 대통령 8명 중 4명이 구속되거나 파면됐다. 모두가 보수 정당 대통령이었다”며 “두 번 연속 대통령 탄핵을 초래한 국민의힘은 이번 선거에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