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기후위기 대응 위해 블루카본 정책 강화

탄소흡수원 확대 위한 정책 연구 보고회 개최 “지속 가능한 블루카본 정책 마련 필수”

2025-03-05     김민정 기자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연구단체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연구포럼’은 학술연구 보고회를 개최했다. ⓒ제주도의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장 이상봉)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블루카본(Blue Carbon) 정책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탄소흡수원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제주도의회 의원 연구단체 ‘기후위기대응탄소중립연구포럼(대표 이승아 의원)’ 학술연구 보고회가 지난달 27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소통 마당에서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는 제주 연안 블루카본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블루카본, 탄소중립 실현 위한 핵심 요소

블루카본은 바다와 해양 생태계에서 흡수·저장되는 탄소를 의미하며, 해초, 갯벌, 맹그로브 숲 등이 주요 탄소흡수원으로 작용한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제주가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블루카본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강조됐다.

보고회에는 연구단체 대표 이승아 의원과 강상수·박두화·양홍식 의원이 참석했으며, 연구진으로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강정찬·양미연 박사가 참여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승아 의원은 “제주도가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탄소흡수원에 대한 정책과 제도는 여전히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연구포럼은 2023년에는 그린카본(Green Carbon), 2024년에는 블루카본 연구를 진행하며 정책 개발에 주력해 왔다. 그린카본은 나무나 숲, 열대우림 등 식물 등에서 육상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의미한다. 

전문 인력·기반 시설 부족… 정책적 지원 시급

블루카본 정책을 현실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과 기반 시설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도에는 블루카본 관련 전문 인력과 기업 활동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다.

양홍식 의원은 “블루카본 연구와 사업이 지속 가능하게 하려면 전문 인력 양성과 기업 활동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강정찬 박사(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특별연구원)는 제주 연안의 블루카본 현황과 사업 전망을 설명하며, 제주 자연생태를 기반으로 한 공공형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장 구축을 제안했다. CDM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친환경 프로젝트로, 지속 가능한 블루카본 정책을 실현할 방안 중 하나다.

이번 연구 보고회는 블루카본을 활용한 도의 탄소흡수 정책 마련을 위한 중요한 논의의 장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