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동행어린이집' 700곳으로 확대...폐원 위기 막는다

컨설팅 및 시책사업 지원 강화...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등

2025-01-24     고은성 기자
서울시청 전경 ⓒ서울시

서울시(시장 오세훈)는 폐원 위기 어린이집의 운영 정상화를 위해 ‘동행어린이집’을 총 700개소까지 확대하고, 이와 연계한 컨설팅 및 시책사업 지원을 강화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사업은 폐원 위기 어린이집을 ‘동행어린이집’으로 지정하고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우선 지원 △서울형 어린이집 신규 공인 지원 △환경 개선비 같은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달 안으로 폐원될 경우 돌봄 불편이 예상되는 어린이집 약 700곳을 ‘동행어린이집’으로 선정하고 본격 지원할 계획이다.

동행어린이집 중에서 민간어린이집이 ‘서울형어린이집’ 공인을 받기를 희망하는 경우엔 공인 요건을 갖출 수 있도록 맞춤 컨설팅을 해주고, 신규 공인 신청 시 가점 부여 등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일정한 평가 기준을 충족하는 민간‧가정 어린이집이 ‘서울형어린이집’으로 지정되면 국공립 어린이집과 동일하게 보육교직원 인건비 30~100%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동행어린이집이 운영을 정상화하고 나아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어린이집별 맞춤형 경영 진단 컨설팅도 지원한다.

컨설팅을 원하는 어린이집은 인근 영유아 인구 등 보육환경, 재정여건, 인식조사 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개선 방안을 진단받을 수 있다. 시는 개선방안에 맞는 시책사업을 우선 지원함으로써 컨설팅의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동행어린이집의 남는 공간과 유휴 인력을 활용해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도 확대한다.

지난해 6월 시범운영 결과 양육자와 보육현장의 호응도가 매우 높은 만큼, 올해는 자치구별 최소 1개씩 운영될 수 있도록 상반기 중으로 25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은 부모 급여 도입으로 증가하는 가정 양육 영유아에게 전문 일시보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그간 기존 시간제 보육 어린이집과 달리 놀이, 미술 등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해 영유아 발달과 사회성을 증진에 관심이 많은 양육자의 욕구를 반영한다.

김선순 시 여성가족실장은 “동행어린이집 지정을 늘려 어린이집 운영을 정상화하고 양질의 보육 서비스가 차질 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