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캠페인 “한국,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높여야”
글로벌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인 RE100 캠페인이 한국 정부에 RE100 기업의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연내 확정 예정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상향할 것을 촉구했다.
RE100은 205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발전된 전력만을 사용하겠다는 목표를 선언한 기업들로 구성된 자발적 기업 이니셔티브로, 현재 전 세계 43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는 현재 36개의 한국 기업이 참여 중이다.
RE100 캠페인은 “최근 몇 년간 한국 내 회원사의 재생에너지 조달 비율이 2%에서 9%로 상승했다”면서도 “RE100은 한국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없이는 이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24년 5월 발표된 11차 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2030년 목표치는 21.6%에 불과하다. 더욱이 이 목표에는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과 같은 비재생에너지원인 신에너지가 포함돼 있어 실제 재생에너지 비율은 더욱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RE100 캠페인은 “이러한 낮은 목표가 신속한 탄소배출 감축은 물론, 기업 투자 촉진 및 글로벌 시장 요구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며 “전기본 확정 과정에서 목표치를 대폭 상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클라이밋 그룹의 올리 윌슨 RE100 총괄은 “RE100 캠페인에 합류하는 새로운 대기업이 늘어나면서, 재생에너지를 향한 글로벌 여정은 분명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며 “한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기업의 재생에너지 목표에 부응해 민간 부문이 한국의 에너지 전환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정책 장벽을 제거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100 한국 로컬캠페인파트너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의 김태한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취임으로 인한 ESG 기조 후퇴 우려 속에도 국내 기업 대상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는 계속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이 국제 시장 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재생에너지 사용은 필수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RE100은 지난 2023년 3월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과 정책 기반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한 ’RE100 한국형 정책 제언’을 발표하며 한국 정부의 정책 변화를 요구한 바 있다.
오는 2월 한국을 포함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은 상향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해야 한다.
RE100 캠페인은 “NDC 제출과 11차 전기본 확정을 앞둔 한국 정부의 결단이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돕고 글로벌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