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지원 사업, 4만명 미신청 이유는? “신청절차 어려워”

청소년에게 문턱 높은 신청 절차

2024-10-27     신다인 기자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 신청률은 80%에 그쳐 예산의 20억이나 사용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26일 밝혔다. ⓒ여성신문

2016년 저소득층 청소년들이 생리대 대용으로 신발 깔창 등을 사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을 시작했지만, 당사자가 신청대상인지 모르거나 절차가 까다로워 신청을 하지 못하는 등 생리용품 지원사업 집행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 신청률은 80%에 그쳐 예산의 20억이나 사용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26일 밝혔다.

특히 취약계층 9-10세 여성청소년 2만 1843명 중 신청자는 1만349명으로 절반 이상이 신청서를 내지 않은 상황이다. 19-24세 취약계층 여성 청년도 10명 중 3명도 지원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별로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보편적 지원도 하고 있지만 현물, 바우처, 지역화폐, 포인트, 자판기설치 등 제각각 운영되고 지자체 마다 지원 대상이 달라 신청 대상자인지 여부를 제대로 안내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시민단체 ‘여성환경연대’에서 생리용품 지원사업 사례조사를 진행한 결과 생리용품 지원사업을 받으려면 ‘국민행복카드’를 별도로 발급받아야 하는데 그 과정이 어렵다는 사례들이 접수됐다.

또한 생리용품 지원사업의 단가는 1만 3천원인데, 지원금 부족문제와 사용처 제한으로 인근 마트에서 바우처 카드 사용이 불가능한지 일일이 물어봐야 하며, 원하는 월경용품 구입이 어렵다는 불편상황도 확인했다.

이밖에도 “아버지가 단독 양육 중인 한부모 가족인데, 바우처 금액이 크다보니 아버지가 카드를 주로 보관하고 생리용품 대신 구매한다. 생리대 이외 다른 월경용품을 이용하고 싶지만, 주변에서 구하기 어렵다” 등 양육자가 비협조적인 경우 자신이 원하는 월경용품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안타까운 사례도 접할 수 있었다.

여성환경연대는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사업에 대해 △신청 절차 및 사용 방법 간소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을 위한 예산 편성 및 이행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사업 적극 홍보 △이용자 실태조사 및 불편 사항 적극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사업의 사각지대를 점검하고 청소년들에게 월경용품 보편적 지급이 가능하도록 정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