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EU 공급망실사지침 대응 설명회 개최
수출기업 및 유관기관 임직원 600여명 참석 “국내 수출기업 위해 민관이 함께 대비해야”
대한상공회의소는 26일 코트라와 공동으로 'EU 공급망실사지침(CSDDD) 대응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지난 7월 25일 EU의 공급망실사지침(CSDDD)이 발표된 데 따른 대응책 마련을 위해 개최됐다. 행사엔 국내 수출기업과 유관기관 임직원 600여명이 참석했다.
EU CSDDD는 EU와 거래하는 대기업이 자사 뿐 아니라 협력사의 환경 및 인권 실사 의무까지 지도록 한 지침이다. 주요 실사 항목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검증, 업무상 차별금지, 유해화학물질 및 폐기물 관리 체계 구축 등이다.
심진수 산업통상자원부 신통상전략지원관은 개회사를 통해 “공급망 실사 의무가 적용되는 2027년까지 대기업과 중소중견 협력사가 함께 철저히 대비해 EU 및 글로벌 시장에서 ESG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기업 대상 교육과 컨설팅 등 지원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CSDDD 발표에 따라 유럽각국은 유럽 각국은 2026년 7월까지 이를 국내법으로 입법하고 2027년 7월부터 EU 역내 매출 15억유로, 9억유로, 4.5억유로 이상인 역외기업에 대해 3년간 순차 적용한다.
지침 위반 시 전 세계 매출의 5%까지 과징금을 부과하며 공공조달 참여가 제한된다. ‘고의’ 또는 ‘과실’로 피해가 발생할 경우 민사책임까지 지게 된다. 이는 의무적용 대기업이 아닌 경우에도 고객사가 EU지역에 수출하는 기업이라며 인권·환경 실사 대상이 된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코트라, 대한상의, EY한영회계법인에서 각각 △EU 공급망실사지침 쟁점 및 해외 동향 △공급망 ESG 규제와 우리 기업의 대응 △EU 공급망실사지침 이행 실무 가이드 등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이제 우리 기업들은 자사는 물론 직간접 협력업체의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될 위험에 놓여 있다”며 “3년이 채 남지 않은 기간 동안 국내 수출기업을 위해 민관이 손잡고 함께 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