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차이’ 과학기술 연구에 반영해야 정책 실효성 커져”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18일 포용적 과학기술 젠더혁신 포럼 성료
(재)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는 지난 1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성별 특성 반영 연구 확산을 위한 과학기술 젠더혁신 포럼’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성별 특성을 반영하는 연구(성별특성연구) 문화 및 환경을 출연(연)이 선도적으로 조성하고, 국제연구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선민 고려대 환경생명공학부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축사를 맡은 김복철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 등 다양한 과학기술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그간 많은 과학자들이 ‘여성 호르몬에 의한 복잡성’, ‘기존 연구의 지속성’, ‘여성 데이터로 인한 변수 증가’, ‘행동학적 차이 없음’ 등을 이유로 젠더 차이를 고려한 연구를 피해 왔다.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 단장은 이를 반박했다.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부터 뇌의 활성 차이, 이로 인한 행동학적 차이에 대한 연구성과들을 보여주면서, 성별특성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형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도 과학기술 R&D에 젠더혁신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비 지원을 신청할 때 성평등계획(Gender Equality Plans)이 꼭 갖춰져야 하는 유럽연합(EU) 관련 사례도 소개했다.
전준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는 출연(연)을 인터뷰한 결과를 공유하면서 공평한 연구 기회, 공정한 대우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경험될 수 있다는 점을 짚었다. 또 EDI(형평성, 다양성, 포용성)가 반영되도록 조직문화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은미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선임연구원은 정책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 성별특성연구에 대한 인식과 연구자의 성별특성연구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양성윤 충남대 고분자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패널토론도 이어졌다. 김혜진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김혜진 선임연구원은 성별특성연구 활성을 위한 연구 인프라 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재 생명연구자원 관리 및 활용에서 성별 특성을 반영하는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를 제시했다.
김혜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정출연의 심각한 성비 불균형, 연구지원의 미흡함을 꼬집으며 전담 부서 설치 등 기관의 적극적 움직임을 촉구했다.
강점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기술원은 연구 사업에서 성별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는 움직임이 성별특성연구 확산 및 성과평가에 실질적인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곽진선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연구위원은 성별특성연구에 대한 연구 현장의 인식 개선을 위해선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또 출연(연)의 기관 맞춤형 컨설팅을 비롯해 기관 내부의 전문가 양성,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현장 적용 등 방안도 제시했다.
노명현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성별특성연구의 확산을 위해 제도적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며, 글로벌 수준에 맞는 과제 진행, 연구자들이 글로벌 연구와 별개로 수행 가능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혜숙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소장은 국제적으로도 성별특성연구 수행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국제공동연구 수준을 높이기 위해 우리나라의 성별 등 특성 연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