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산후조리원 ⓒ여성신문
공공산후조리원 ⓒ여성신문

산후조리원의 2주간 이용 요금이 최고 2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자체는 저렴한 가격의 공공산후조리원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나 정부가 이를 막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현황’에 의하면 산후조리원 2주 이용요금이 최대 2000만원에서 최소 70만원으로, 요금 차이가 최대 27.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전국의 산후조리원은 2012년 540개소에서 2013년 557개소, 2014년 592개소, 2015년 610개소. 2016년 6월 현재 617개소로 증가 추세이며, 지역별로는 경기 183개소, 서울 160개소, 인천 36개소 등으로 수도권에 61.4%(379개소)의 산후조리원이 몰려 있다.

산후조리원 시도별 평균 이용요금은 서울 302만원, 울산 241만원, 대전 230만원순이었으며, 시군구별 평균 이용요금은 서울 강남구가 497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H산후조리원으로 일반실 이용요금이 800만원, 특실이 2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서초 M산후조리원 700만원(일반실), 서울 강남 D산후조리원 650만원(일반실)·1,500만원(특실) 등으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이 대부분 서울 강남·서초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가장 요금이 저렴한 산후조리원은 전북 정읍의 H산후조리원으로 일반실 이용요금이 7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남 통영 T산후조리원과 전북 전주C산후조리원 80만원 등 전국에 이용요금이 100만원 미만인 산후조리원이 총 6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지자체는 공공산후조리원을 운영하고 있다. 2016년 6월 현재 제주 서귀포, 서울 송파, 충남 홍성, 전남 해남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을 운영 중이며, 평균 이용 요금은 170만원으로 나타나, 민간산후조리원 일반실(230만원)과 60만원, 특실(298만원)과 128만원 차이가 났다.

남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의 경우 민간산후조리원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최근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지자체의 공공산후조리원의 설치가 가능해 졌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시행령을 통해 이를 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남 의원은 “현재 정부의 기준에 의하면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할 수 있는 지역은 출생아가 매우 적은 농어촌의 23개 시·군뿐”이라며, “현재 운영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은 입소 대기자가 넘치고 있는 상황으로 국민들이 공공산후조리원을 원하는 만큼, 정부는 시행령을 개정하여 설치요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