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개 기업의 사외이사 2.5명

여성 사외이사는 겨우 0.1명

10대 기업 여성 사외이사 총 2명

경영투명성 취지와 달리 ‘끼리끼리’

‘임원 성별 공시’ 법제화하고

할당제 도입한 유럽 본받아야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cialis coupon free prescriptions coupons cialis trial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cialis coupon free prescriptions coupons cialis trial coupon
ⓒ일러스트 이재원

주총의 계절, 3월이 되면서 새롭게 선임되는 기업의 사외이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객관적인 위치에서 경영권을 견제하고 감독하는 사외이사는 다양성과 전문성이 핵심이다. 이사회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여성들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이사회의 ‘유리천장’은 여전히 견고하다. 기업의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도입된 사외이사가 제 역할을 하려면 다양한 이해관계자 뿐 아니라 성별 다양성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발표한 ‘2015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관리자가 있는 248개 기업(100인 이상) 이사회의 평균 인원은 사내이사 5.9명, 사외이사 2.5명이었다. 이 가운데 여성은 각각 0.3명과 0.1명에 그쳤다. 평균적으로 사내이사는 5%, 사외이사는 더 낮은 4%가 여성인 셈이다.

2007년 첫 조사에선 평균 사외이사 1.8명 중 여성은 단 한 명도 없었다. 2년 뒤 2008년 조사에선 전체 1.5명 중 0.1명으로 소폭 늘었지만 이후 전체 사외이사 비율이 증가해도 여성 사외이사 숫자는 6년 째 0.1명에 머물고 있다. 이 조사는 여성 관리자가 있는 기업에만 한정돼 있어 여성 관리자가 없는 기업을 포함하면 여성 사외이사 비중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주요 기업 가운데 여성 사외이사를 둔 기업이 늘고 있지만 아직까진 극소수에 불과하다. 최근 SK이노베이션은 하윤경 홍익대 기초과학과 교수를 신임 사외이사로 추천해 의결을 기다리고 있다. 하 교수가 사외이사로 의결되면 SK그룹 주요 계열사의 첫 여성 사외이사가 된다. 롯데쇼핑은 사외이사 5명 중 2명을 여성으로 선임했다. 문정숙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와 강혜련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지난해 새롭게 사외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롯데홀딩스도 지난해 일본 자유민주당 여성국장을 거친 변호사 사사키 토모코씨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하지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3월 2일 현재 매출액 상위 10대 기업인 현대자동차, 포스코, LG전자, 기아자동차, 현대중공업, 한화, 현대모비스, LG디스플레이, GS칼텍스 등에는 여성 사외이사가 아예 없다. 삼성전자의 경우, 2013년 삼성전자 첫 여성 사외이사로 선임된 김은미 이화여대 국제대학원장이 올해 퇴임하기로 하면서 또 다시 ‘남성들만의 리그’로 회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13년 11월부터 상장사가 사외이사를 포함한 모든 임원의 성별을 표시하도록 기업공시서식 작성 기준을 고쳤다. 상장사의 이사회와 고위 관리직 내부의 성별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권고를 받아들인 것이다. 사외이사의 성별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남초 현상이 완화될지 관심이 모아졌으나, 아직까지는 성별 다양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시행령에 규정된 ‘임원 성별 공시’를 법제화해 무게감을 높이자는 의견도 나온다. 지난해 박혜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상장사의 사업보고서에 임원 성별을 의무적으로 표기하도록 하는 내용의 관련 법안을 대표 발의했으나 여전히 국회에 잠자고 있다.

사외이사 제도는 1998년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사외이사는 도입 취지와 달리 ‘끼리끼리’ 문화로 변질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실제로 최근 한국생산성본부가 S&P다우존스인덱스, 로베코샘과 함께 공동 발표한 2015~16 다우존스 지속가능성지수(DJSI) 평가에서 글로벌 기업에 비해 사외이사 선임과정의 투명성과 다양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회 활동에 대한 객관적 평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최근 민간에서 이사회의 성별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움직임이 보인다. 사외이사를 뽑는 기업에 여성 사외이사를 추천하고 후보자들의 경력 관리를 지원하는 글로벌 단체인 여성사외이사협회(WCD·Women Corporate Directors) 한국 지부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올해 하반기 지부 발족을 추진 중인 한경희 한경희생활과학 대표는 “이사회는 기업의 장기적인 전략 수립에 큰 역할을 기구지만, 국내에선 이사회 자체도 활성화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사로 활동하는 여성을 찾기도 극히 드물다”며 “이사로 활동 중이거나 과거에 활동한 여성들과 함께 더 많은 여성들이 사외이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반면,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은 정부가 중심이 돼 기업 내 여성 고위직을 늘리기 위한 수단으로 ‘할당제’를 도입하고 있다. 노르웨이가 기업 이사회에 여성 이사 비율을 최소 40%로 정한 여성임원 할당제는 도입 10년 만에 “여성 임원이 늘자 기업 성과로 이어졌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으며 유럽 전역에서 벤치마킹 되고 있다. 독일은 올해 상장기업 이사회의 30%를 여성으로 채우도록 강제하는 여성 임원 할당제를 시행했다. 영국은 100대 상장기업(FTSE)이 여성 이사의 비율을 자율적으로 25%까지 높이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FTSE 100대 기업 이사회의 여성 비율은 2010년 10.5%에서 2012년 17.3%로 증가했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여성 관리직 비율 30% 달성을 위해 ‘여성활약추진법’을 제정했다.

이사회에 여성 임원의 증가가 경영성과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세계적 컨설팅업체인 맥킨지가 2014년 366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경영진의 성비가 균형을 이룬 기업일수록 수익이 해당국가 동종업계 평균치를 상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발표했다. 여성 임원이 많은 기업은 각종 결정 과정에서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사안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현명한 경영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맥킨지의 분석이다.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와 함께 유리천장 지수 꼴찌를 다투는 일본도 관련 법을 제정해 여성 관리직을 30%까지 높이겠다고 발표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공공 분야를 비롯해 민간기업에도 일정 비율을 여성 이사로 채우는 할당제를 도입해 더 많은 여성들이 고위직으로 오를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