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조기폐경에 자살까지
“도와주지 않으면 유서에
당신 이름 쓰겠다”
민원인 언어폭력 심각

사회복지 여성 공무원들이 심각한 격무로 유산이나 사산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사회복지 최일선에서 근무하지만 정작 여성 공무원들은 복지의 사각지대에서 신음한다는 지적이다. 사회복지직은 대표적인 ‘여성 일자리’로 꼽힌다. 2011년 말 현재 1만638명 중 여성은 7894명에 달한다.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2동 주민센터에서 일하는 7급 공무원 박상욱씨가 독거노인 가정을 방문해 상담을 하고 있다. 의정부=홍효식 기자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2동 주민센터에서 일하는 7급 공무원 박상욱씨가 독거노인 가정을 방문해 상담을 하고 있다. 의정부=홍효식 기자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지난달 성남시 분당구 내 한 주민센터에서 근무하는 여성 사회복지 공무원이 결혼을 3개월 앞두고 “일이 너무 힘들다”며 자살한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1월에는 용인에서 사회복지 공무원이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를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자살 사건을 바라보는 사회복지 여성 공무원들은 자괴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2동 주민센터에서 일하는 14년차 공무원 박상욱(43·7급)씨는 지난달 초과근무만 100시간을 했다. 일주일에 서너 차례는 오전 7시50분에 출근해 오후 10∼11시 퇴근했고, 설 연휴를 빼곤 주말도 반납했다. 4일 하루 동안 이 주민센터의 사회복지사 8명이 방문과 전화로 응대한 주민은 600명. 관할 주민이 3만 명인데 기초수급자만 615가구 1020명이다. 1, 2월이 가장 바쁠 때인데 0∼5세 무상보육비 신청과 교육청 업무였던 초·중·고교생 학비지원 사업까지 하느라 정신없이 바빴다고 한다.

박씨는 “사회복지 여성 공무원들은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며 “과다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유산 위험에 놓이자 병가를 낸 여성들도 있다. 불임클리닉에 다녀 8년 만에 아기를 낳거나 과로로 쌍둥이 아이 한 명을 잃은 경우도 봤다”고 말했다. 박씨는 “조기 폐경이 와서 갱년기 치료제를 먹고 있다”며 “큰딸이 고3 수험생인데 가정복지는 신경도 못 쓴다”고 덧붙였다. 보건복지부 국감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07년 6월까지 유산을 경험한 사회복지직 여성 공무원은 132명이다.

여성들이 민원인을 상대하는 과정에서 겪는 고충도 만만치 않다. “나를 도와주지 않으면 유서에 당신 이름을 쓰고 죽겠다”는 식의 언어폭력은 다반사다. 특히 생계비 지원을 받는 출소자나 만성 알코올중독자들의 협박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밤길 조심하라” “뒤통수에 칼을 꽂는다” “휘발유를 뿌리겠다”고 위협하거나 옷을 다 벗은 채 칼을 들고 자해하기도 한다. 지난해 4월에는 경기 성남시 중원구청에서 기초수급에 불만을 품은 30대 민원인이 흉기를 휘둘러 사회복지 공무원이 손과 얼굴을 다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일선 사회복지 공무원들은 정부가 2014년까지 7000명을 증원한다고 밝혔지만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식’이라고 지적한다. 선수경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장은 “현장은 인력 증원 효과를 피부로 못 느낀다”고 말했다. 사회복지 공무원이 증원되면 기존 사회복지 업무를 하던 행정직은 다른 부처로 빼간다는 것이다. 또 다른 정부 부처가 하던 온갖 행정 업무가 읍면동에 폭포처럼 쏟아진다는 하소연이다. 선 회장은 “따져보니 9개부처 업무를 하더라. 자살한 성남시 여성 공무원이 맡은 주민 수도 중소도시 인구 수준이었다”며 혀를 찼다.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주민센터 김종복 주민생활팀장은 “정부가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을 과신한 것 같다”며 “클릭 한두 번으로 민원 업무가 끝나지 않는다. 사통망이 잘 된다니까 업무가 사회복지직에 집중됐다. 복지 현장의 ‘깔대기’ 현상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김 팀장은 “독거노인이 고독사하면 사회복지 공무원이 업무를 소홀히 한 것처럼 보는 시선이 있다”며 “현장을 방문해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지금은 공무원들이 다른 업무에 치여 책상머리에 앉아 씨름한다”고 덧붙였다.

선 회장은 “지금의 사회복지 전달 시스템을 체계화해야 한다”며 “보건소처럼 별도로 독립된 조직을 허브로 꾸리고 읍면동 주민센터를 운영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cialis coupon free prescriptions coupons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