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청소년극은 딜레마를 안고 있다. 작품성에서 주류로 진입하기 어렵다는 통념이 있고, 관객 면에선 성인 연극보다 동원하기 힘들다. 해외에선 어떨까.

대표적인 나라가 바로 독일이다. 극단 학전이 공전의 히트를 친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이 독일 베를린의 청소년극단 그리프스 극단 작품의 번안극이란 것은 잘 알려진 사실.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 손준형 연구원에 따르면 독일은 주별로 주립·시립 어린이청소년극단이 활성화돼 160여 개의 국공립 극단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베를린시의 국립 어린이청소년극단 ‘안 데어 파카우에’로 매년 500편 이상의 작품이 공연돼 관객 수가 연 8만5000여 명에 이른다. 2004년 5월 창단된 ‘슈투트가르트 청소년극단’은 독특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성인 관객이 작품에 대한 심미안을 제대로 갖추기 위해선 어린 시절부터 수준 높은 공연을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사회적 여론의 지원을 받아 탄생했기 때문. 100석 미만의 소극장, 250석 규모의 공연장, 인형극장 등을 갖추고 있고, 연습무대장도 별도로 있다. 연간 3만3000명의 관객에 2년마다 ‘아름다움의 조망’이란 어린이청소년극 국제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프랑스에선 250여 개의 어린이청소년 전문극단이 있고, 35개의 페스티벌이 열린다. 대표적인 극단 스트라스부르 국립어린이청소년연극센터의 연간 예산은 약 285만 유로(약 42억원)이며, 그중 83%가 정부 지원금이다.

영국의 어린이청소년극 지원은 어린이청소년극이 세계적 문화상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소년과 말의 우정을 그린 마이클 모퍼고의 동화를 원작으로 2007년 초연된 ‘워 호스(War Horse)’는 국립극장의 지원 아래 제작돼 희곡상, 연출상, 무대디자인, 조명디자인 등 토니상 5개 부문을 석권했다. 제작비 210억원을 투입, 실물 크기의 모형 말을 세 명의 배우가 정교하게 움직이는 기법과 뮤지컬 못지않은 음악으로 흥행에도 성공해 국립극장의 세 공연장에서 벌어들이는 수입과 맞먹는 수입을 올리고 있다. 그 결과 2010년에는 공연 수익금이 지원금을 능가하는 기록을 세웠다.

스웨덴에선 각 지역을 순회하는 국립 어린이청소년 극단 ‘웅아 릭스’가 있다. 대도시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진 작은 마을까지 500여 곳을 순회 공연한다. 초연은 주로 작은 마을의 학교나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며 우리 돈으로 57억원 정도의 정부 예산으로 운영된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