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위원장이 당내 갈등 해결 못한 채
폐쇄적이고 독선적인 리더십 보인다면 결코 미래는 보장되지 않아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룰을 둘러싸고 새누리당 내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당 지도부는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 주자들의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요구를 묵살하고 경선관리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에 대해 이들 3인은 “대선주자 간 합의에 따른 경선 룰 확정 없이는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친박과 당 지도부가 오픈프라이머리 요구를 끝내 거부하고 현행 룰대로 경선을 강행할 경우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압박으로 보인다. 이재오 의원은 한 발 더 나아가 탈당과 정계 개편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경선관리위원회는 첫 회의에서 14일부터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경선 룰 변경 없이 현행 당헌·당규대로 8월 21일까지 대선 후보를 선출하려면 6월 25일까지는 예비후보 등록을 해야 실무 준비를 할 수 있다는 논리에 따른 것이다.

친박과 비박 양측의 입장이 너무 완강하기 때문에 파국을 막고 12월 대선에서 새누리당이 승리하려면 어떻게든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그 열쇠는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쥐고 있다. 현재까지 박 전 위원장은 “선수가 룰을 바꿔서는 안 된다”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더구나 오픈프라이머리는 치명적인 역선택 문제로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친박의 핵심 인사는 “새누리당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한다면 민주당, 통합진보당, ‘정봉주와 미래권력들’(미권스), 전교조, 민주노총 등이 박 전 위원장 상대 후보를 찍기 위해 모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02년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 측에서 당시 박근혜 부총재가 요구했던 국민참여경선제를 비판할 때 논리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똑같다. 한나라당이 국민참여경선제를 채택하면 노사모가 총동원돼 이 총재를 떨어뜨리고 상대하기 쉬운 박근혜를 당선시킬 것이라는 논리를 폈다. 당시에 박 부총재는 경선 룰을 둘러싸고 이 총재 측과 공방을 벌일 때 “국민참여경선에 대해 부작용을 우려해 시도도 해보지 않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고, “이회창 총재가 여론에 떠밀려 개혁의 시늉만 내고 결국은 프리미엄을 갖고 경선에 나서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부총재는 “경선에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는 입장은 확고하다”고까지 말했다. 결국 박 부총재는 이 총재의 제왕적 당 운영을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탈당했다.

탈당 기자회견에서는 “1인 지배 체제 극복이 정당 개혁의 기본인데, 한나라당은 후보 뽑는 모양만 다르게 했을 뿐이다”면서 이 총재에 직격탄을 날렸다. 역사에 가정은 의미가 없다. 하지만 만약 2002년에 이회창 총재가 보다 열린 마음으로 박 부총재의 요구를 받아들여 멋있는 경선을 치렀다면 대선 역사가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박 부총재가 탈당하자 많은 국민은 이 총재가 대세론에 도취되어 변화와 개혁을 거부하는 수구적 인물이 됐다고 비판했다. 그것이 바로 낡은 정치 청산을 기치로 내건 노무현 후보에게 일격을 당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됐다.

박 전 위원장이 10년 전 이회창 총재의 실패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통 큰 결단을 내려야 한다. ‘박근혜식 6·29 선언’이라도 해야 한다. 지난 1987년 노태우 민정당 대선 후보가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국민이 원하는 대통령직선제를 전격 받아들임으로써 대선 주도권을 장악하지 않았는가. 박 전 위원장이 당내 경선 룰을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지 못한 채 끝내 폐쇄적이고 독선적인 리더십을 보인다면 결코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다. 당내 갈등도 해결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국민 통합을 이뤄낼 수 있겠는가. 박 전 위원장은 2001년 12월 18일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내 이름의 영문 이니셜이 GH인데, 나는 이를 대화합(Great Harmony)이란 뜻으로 새기고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이 진정 재집권을 원한다면 지금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런 대화합의 정신이다.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