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이 살기에 가장 어렵고 고달픈 곳은? 정답은, 시린 에바디 여사에 따르면 ‘비민주적인 이슬람 국가’다.

13일 이화여대에서 있었던 노벨 공개 강연회에서 그는 ‘여성 인권변호사의 경험담’을 토대로 여성에게만 부과되는 이란의 차별적인 법체계에 대해 사례를 들어가며 열변을 토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이혼’에 관한 성차별적 법 적용. 남성은 4명의 부인까지 둘 수 있고 정당한 이유 없이 이혼을 요구할 수 있으나 여성은 절대 그렇지 않다.

심지어 여성의 ‘목숨’ 값은 남성의 딱 절반이다. 남성과 여성이 동시에 교통사고를 당한 경우 여성에게 지급되는 돈은 남성의 절반이고, 법정에서 여성 2명의 증언은 남성 1명의 증언 효력에 불과하다.

“일례로 현재 이란에 한 명뿐인 여성 장관에 대해 얘기해보자. 만약 그가 여성인권 옹호를 위해 국제회의에 참석하고 싶어 한다면 그는 우선 남편으로부터 출국 허가증을 받아야만 한다. 만약 출국 전에 부부싸움이라도 한다면 아마 그 회의에서 이란의 대표석은 비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런 극심한 성차별이 존재하는 모든 원인을 ‘이슬람’이란 종교에 돌리는 것을 경계했다. 이슬람권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처럼 수년 전만 해도 여성에겐 신분증이 없었고 현재도 운전면허증이 허용 안 되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파키스탄이나 방글라데시처럼 여성 대통령이나 국무총리 등 최고위직이 탄생하는 나라도 있다는 것. “나라마다 여성이 처한 상황이 다르기에 이슬람 역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문제는 종교가 정권의 필요에 따라 상당히 ‘가부장’적으로 해석돼 악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은 가부장적 문화에 대해 영원히 투쟁할 수밖에 없다.

그는 특히 “‘가부장’은 비단 ‘남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즉 “인간의 평등을 인정하지 않는 잘못된 문화”이며 “여성은 그 잘못된 문화의 희생양이면서 동시에 그런 문화를 양산하는 존재이기도 하다”는 것.

“남성은 바로 여성의 치마폭에서 교육을 받기 때문이다. 그래서 난 가부장 문화를 ‘혈우병’에 비유하곤 한다. 한번 피가 흐르면 결코 멈추지 않아 치명적이고 엄마의 유전자로부터 그 아들에게 유전되는. 여성은 결코 그 병에 걸리지 않지만 그에게서 유전자를 물려받은 아들은 그 병에 걸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