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여성 의원 오찬에서 김금래 의원 제안
여성정책 총괄 조정·조언하는 참모 필요해

 

1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성의원 초청 오찬에서 김금래 의원을 중심으로 ‘여성특보’ 필요성이 제기됐다. 왼쪽부터 강명순 조윤선 박영아 진수희 이은재 박순자 의원, 이명박 대통령과 김윤옥 여사, 김영선 김금래 김소남 손숙미 의원.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http://lensbyluca.com/withdrawal/message/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1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성의원 초청 오찬에서 김금래 의원을 중심으로 ‘여성특보’ 필요성이 제기됐다. 왼쪽부터 강명순 조윤선 박영아 진수희 이은재 박순자 의원, 이명박 대통령과 김윤옥 여사, 김영선 김금래 김소남 손숙미 의원.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http://lensbyluca.com/withdrawal/message/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청와대 사진기자단
청와대에 ‘여성 특별보좌관’(여성 특보)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가시화되면서 여성계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는 1일 이명박 대통령·김윤옥 여사가 청와대 상춘재에서 20여 명의 한나라당 여성 의원들과 가진 오찬 자리에서 나왔다.

당 중앙여성위원장을 역임한 김금래 의원이 여성 특보 신설 검토를 제안한 것. 이에 대통령은 “좋은 사람 있으면 당에서 (후보를) 추천해달라”는 즉각적이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 의원은 이와 관련한 여성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당시 대통령께선 흔쾌한 반응을 보이셨다”며 이미 8·31 청와대 조직개편 발표 후인지라 현실적으로 ‘수석’에 여성을 임명할 가능성은 없던 차에 ‘특보’라면 여성 기용이 가능할 것이란 판단에서 제안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한나라당이 현재 여성 의원 수도 가장 많고(22명), 구청장도 다 한나라당 여성들이며, 강남 서초 등지에 전략적으로 여성을 ‘안방 공천’하는 등 당 차원에서 여성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데도 여성 친화적 이미지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이런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라도 “여성을 가시화된 파격적인 자리에 상징적으로라도 임명해야 되지 않겠느냐”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노무현 정부에선 총리, 법무부 장관 등 여성이 좀처럼 가기 힘든 자리에 여성을 과감히 발탁함으로써 여성 장관 수가 적은 데도 불구하고 ‘친여성적’ 이미지 효과를 한껏 누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IT 특보 등 특보도 전문 분야별로 다양한데, 여성 특보가 실현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추가 임명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특보의 경우 좀 더 자유로운 입장에서 활동할 수 있고, 비서관과 달리 수석회의에 배석할 수 있어 “여성 시각을 교환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역량 발휘가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청와대 역사상 ‘여성전담’ 부서는 ‘여성정책비서관제’가 유일하다. 이는 1997년 대선에서 여성신문사가 주최한 대선후보 초청 여성정책 TV토론회에서 당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의 공약을 통해 처음으로 가시화됐다. 이후 김대중 후보가 당선돼 청와대에 입성하면서 본격적으로 이 제도가 시행됐다.

안희옥 서울시의원, 이승희 17대 국회의원, 이상덕 전 한국폴리텍I대학 학장이 역대 청와대 여성정책비서관(1급)이다. 초대 청와대 여성정책비서관을 역임한 안희옥 의원은 당시를 회상하며 “청와대 집행업무 라인에 여성정책비서관 같은 여성 전담부서가 제도화되는 게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게 힘들면 여성특보가 신설되는 것이 마땅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무 중간 관리자들은 의지는 있어도 현실적으로 ‘여성’ 업무를 챙기기 힘들고, 최고 관리자 선에서 일일이 이를 챙기기도 어렵다. 따라서 “대통령께 여성문제와 관련해 이를 총괄·조정·촉구하는 참모 기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그는 “김대중 정부 시절, 여성정책비서관제가 있어 여성부를 비롯한 중앙 6개 부처의 여성정책담당관제가 원활하게 돌아갔다”고 평가한다. 뿐만 아니라 청와대 여성정책비서관실의 조정을 통해 여성정책담당관이 없는 다른 부처들에도 여성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룰 창구가 지정됐다는 것이다.

그는 “노무현 정부 때 신설된 균형인사비서관이 마치 여성 몫처럼 돼버린 게 아쉽다”고 말한다. 

최단거리에서 최고통치권자에게 ‘여성’ 문제와 정책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그리고 세심하게 챙겨 조언해줄 청와대 내 ‘자리’가 절실하다. 이는 전 부처를 아우르는 성 주류화 정책 실현을 위해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