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선거에서 17명 후보 내 14명 당선시켜…성공모델 발굴이 과제

여성연합은 2007년 ‘풀뿌리 여성조직가 대회’를 개최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지역 내 활동가를 발굴,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2006년부터 시작해 2008년 현재까지 4기에 걸쳐 여성연합 자체 배출 조직가만 46명에 이른다. 이는 생활 속 여성운동과 지역 여성운동의 활성화를 모토로 한 풀뿌리 여성정치 세력화의 시도이기도 하다. “평범한 여성들의 눈높이에서 여성문제를 읽어내고 함께 의제를 만들어갈 것”이란 관계자의 말이 이를 시사한다. 이에 따라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전국 10개 지역에서 총 5회에 걸쳐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풀뿌리 여성 주민리더 교육훈련’을 전개 중이다.

지역 내에서 풀뿌리를 발굴해 지방의회로 진출시킨다는 원칙론적 전략은 사실 1995년 지방선거 때 이미 가시화됐다. 당시 여성연합은 17명의 여성 후보를 추천했고, 그중 14명이 당선되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당선자 중 유승희, 최순영, 홍미영 등은 후에 17대 국회까지 진출했다. 당시 여성연합은 이들의 선거운동과 의정활동에 대해 ▲지역주민과 여성단체의 헌신적 자원봉사와 아이디어로 이뤄낸 돈 안 쓰는 선거의 전형 ▲지방자치에 여성 후보의 장점을 부각시켜 “여성은 정치에 부적절하다”는 기존 인식을 반전시킨 효과 ▲주민자치와 생활정치 실현의 리더 역할 입증 등으로 평가했다.

그런데, 왜 이후 지방선거에서 여성운동계는 답보 상태를 벗어날 수 없었을까.

남윤인순 여성연합 상임대표는 이에 대해 지방의회로 진출한 여성들과 여성단체의 이해관계가 상충됐음을 시사했다. 즉, “여성연합 차원에선 모든 것을 지원함으로써 여성 정치인을 ‘배출’한 것으로 역할이 끝났다고 생각한 반면, 이들 여성 의원은 정당 배경이 없기에 지방의회 진출 후에도 여성운동계에서 계속 케어해주길 바랄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런 배경으로 1995년 당시의 성과를 이어 제2, 제3의 모델을 계속 발굴하되 선거운동 자체는 지원하지 말자는 공감대가 암암리에 형성됐다. 1998년부터는 여성 후보들을 위한 교육 훈련과 관련 제도 개선에 관해서만 집중 논의되고 있다.

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