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고충 개인상담·성평등 교육문화 조성도

모두가 만취한 과 MT에서 선배가 나의 몸을 더듬었다. 술김에서라고 변명하며 적반하장으로 나에게 예의 없다고 꾸짖는 선배. 누구에게 이 사정을 이야기해야 할까.

또 다른 상황, 얼마 전 헤어진 다른 학교 남자 친구가 계속 전화로 협박을 한다. 이제는 집 앞으로 찾아와 성폭행의 위협까지 가한다. 도대체 어디에서 도움을 구해야 할까.

두 질문에 대한 정답은 먼 곳에 있지 않다. 대학 내에 설치된 양성평등상담실(혹은 성폭력상담실)을 찾으면 된다. 가해자와 피해자 중 어느 한쪽이라도 교내 구성원이라면 이곳을 찾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양성평등상담실은 피해자에 대한 고충 상담과 심리적 지원으로 시작해, 피해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사건 처리를 진행한다. 비공식적 처리를 원한다면 사실 확인 후 당사자간 합의조정에 나서고, 공식적 처리를 원한다면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조사와 심의를 진행하고 징계를 결정하는 데 앞장선다.

대학 내 성희롱문제 해결을 위해 시작한 양성평등상담실이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성희롱이나 성폭행 상담이 아니더라도 가벼운 마음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홍보하고 있다.

대학 내 양성평등상담실의 역사는 길지 않다. 1999년 ‘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서울대와 부산대 등에서 처음으로 성희롱 고충처리 담당부서를 둔 것이 시초. 2000년 교육부가 성희롱 예방과 처리에 대한 학칙 규정 개정과 고충전담창구 설치를 의무화함에 따라 연세대, 고려대(2000년), 한양대, 이화여대(2001년), 서강대(2002년) 등이 차례로 학내에 ‘성폭력성희롱상담소‘ 혹은 ‘양성평등상담소‘를 열기 시작했다.

2007년 교육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200여개 4년제 대학 중 161개 대학, 200여개 2~3년제 전문대학 중 111개 대학이 관련 부서를 운영 중이다.

양성평등상담실이 하는 일은 성희롱사건 처리에만 그치지 않는다. 성고충 개인상담, 집단상담을 비롯해 학내 성희롱 예방 및 젠더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문화활동도 벌인다.

서강대 양성평등상담실의 경우 매년 5월 ‘양성평등문화제’를 개최해 대안생리대 만들기, 여성주의 영화 상영, 양성평등 만화 전시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최근 고려대 양성평등센터는 양성평등 이미지를 담은 사진 공모전, 양성평등센터 광고 공모전을 열었다. 또한 13일과 14일에는 스토킹에 대해 알아보는 특강과 피해자가 직접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간담회를 진행한다.

학내 양성평등 교육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 제안도 양성평등상담실의 주요 역할이다. 그 결과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등에서 ‘성에 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 없이 성평등한 관점에서 강의가 진행되었는가’를 묻는 성인지 평가문항을 제도화하는 데 성공했다. 학내 여자화장실에 비상벨 및 비상전화를 설치한 연세대, 동국대, 서강대, 이대 등도 양성평등상담실의 시설 제안으로 이를 추진한 바 있다.

임솔씨는 지난 여름방학에 이화여대 양성평등센터에서 열린 ‘데이트시 의사소통방법’ 워크숍에 참가한 후 “다른 사람들의 연애 이야기를 들어보며 연애의 본질이 무엇인지, 남녀관계에서 의사소통을 어떻게 해나가야 할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소감을 얘기했다.

고려대 양성평등센터 노정민 전임상담원은 “어려움이 있거나 정보가 필요할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빠른 해결점을 찾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며 “선입견이나 편견을 가지고 멀리 하지 말고, 한번 양성평등센터를 들러보라”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