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여인’

홍상수 감독의 ‘해변의 여인’은 여러모로 그의 전작 ‘생활의 발견’을 떠올리게 한다. 일단 두 여자가 등장한다. 그리고 감독으로 지칭되는 남자 주인공이 여행을 떠난다. 바보같이 어수룩한 후배가 여정에 동참하고 원래 후배와 관련 있던 여자는 뜻밖에도 ‘그’ 감독과 연루된다. 여기까지, 대략의 이야기들을 살펴보면 분명 ‘해변의 여인’은 ‘생활의 발견’과 닮아있다. “반복과 강박증에 대해 고민했다”는 고백은 이런 맥락에서 의미심장하게 파악된다. 분명히 닮아있지만 ‘여성’을 보는 입장과 태도에 있어서 ‘해변의 여인’은 한 걸음 옮긴 다른 족적을 보여준다. 홍상수 영화에서 이제, 여성이 말하는 주체로 전경화됐기 때문이다.

말했다시피 ‘해변의 여인’은 두 남자와 두 여자 사이의 연애와 한 남자를 둘러싼 닮은 두 여자에 대한 고찰이다. 영화감독 중래(김승우)는 새로운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해 미술감독에게 무조건 여행을 떠나자고 조른다. 미술감독 창욱(김태우)은 애인을 동반하겠다는 조건으로 중래의 부탁에 수긍한다. 두 남자와 한 남자의 애인으로 시작된 여행은 애초부터 가능한 6가지의 경우의 수 내부에서 좌충우돌 오간다.

‘생활의 발견’에서와 마찬가지로 중래는 한 여자의 두 가지 판본 사이에서 갈등한다. ‘생활의 발견’이 자신이 사랑했던 여자와 자신을 사랑했던 여자의 동일성과 모순을 그려냈다면 ‘해변의 여인’은 어제까지 사랑했던 여자가 내일 싫어질 수밖에 없는 묘한 심리적 모순을 조명한다.

어젯밤 그토록 원했던 그 여자, 문숙(고현정)은 생각을 ‘클리어’하게 정리해야만 할 대상으로 강등되고 만다. 그리고 그는 그녀 문숙이 자신이 원했던 바로 그 여자가 아님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키고자 한다. 납득의 논리는 비현실적이며 억측일 뿐이다. 문숙의 과거, 현재, 미래가 총동원돼 어제 그 완벽했던 여신은 탈신성화되고 세속화된다. 흥미로운 것은 중래가 그녀와 닮았지만 그녀가 아닌 다른 여자에게 매료된다는 사실이다. 내 품안에 안기는 순간 후광을 잃고 매력을 잃어버리는 그녀, 어쩌면 그것은 모든 사랑의 속내이자 비밀일 수도 있다.

주의 깊게 보아야 할 장면은 욕망의 아수라장 같은 이틀을 정리하는 쪽이 중래가 아닌 문숙이라는 사실이다. ‘생활의 발견’의 남자가 두 여자 사이의 방황을 회전문 고사를 떠올리며 끝낸다면, 문숙은 집착으로 점철되었던 이틀 밤을 스스로 종결한다. 수형도와 도식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개념화하고 선입견을 강화하고자 하는 중래와 달리 문숙은 감정의 끝까지 가 봄으로써 성큼 헤어 나올 용기를 얻는다. 그래서, 영화의 마지막, 모래밭에 문숙의 자동차 바퀴가 파묻혔다 빠져 나오는 장면은 그래서 오래도록 기억될 상징으로 자리 잡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